현대차 신사옥, 국내 최고층 도전… ‘제2 롯데’보다 14m 높게 짓는다

입력 2017-02-01 19:33 수정 2017-02-02 15: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 조감도 (사진제공=강남구청)
▲현대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 조감도 (사진제공=강남구청)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들어서는 현대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가 국내서 가장 높은 569m로 지어질 전망이다. 국내 최고층 건물로 완공을 앞둔 잠실 롯데월드타워(555m)보다 14m 더 높다.

서울 강남구는 현대차그룹이 신사옥 건축을 위해 제출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공람을 이달 2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는 △사업 시행으로 예상되는 자연생태 △대기 질 △온실가스 △수질 △경관 △소음ㆍ진동 등 주민 생활과 환경에 미칠 영향과 이에 대한 저감방안 등이 담겼다.

현대차그룹이 초안에서 밝힌 건축계획에 따르면 GBC 메인 타워 높이는 569m(105층)로 애초 계획보다 높아졌다. 현대차는 지난 2015년 처음 GBC 건설 계획 발표 당시 메인타워 높이를 571m(115층)로 했다.

그러나 그해 9월 부지 개발계획을 수정하면서 526m(105층)로 낮아졌고, 지난해 2월 서울시와 사전 협상을 마무리하면서 다시 553m(105층)로 다시 높아졌다.

메인 타워 높이를 제외하면 현대차 신사옥은 기존 건축계획대로 7만9341㎡ 부지에 총면적 92만6162㎡ 규모로 105층 GBC 메인 타워(56만443㎡)를 짓는다. 553m 전망대를 비롯해 2000석 규모의 공연장과 ‘선큰광장’ 등이 배치된다.

GBC 주변에는 △35층 규모의 호텔ㆍ업무시설(15만5082㎡) △공연장(9층ㆍ6만7768㎡) △전시ㆍ컨벤션센터(6층ㆍ6만8895㎡) △전시장(4층ㆍ20만6㎡) 등이 들어선다. 완공 예정 연도는 2021년이다.

신연희 강남구청장은 “현대차 GBC 건립은 영동대로 맞은편 무역센터와 함께 세계 경제중심지로의 도약을 의미한다”며 “세계적인 전망대와 공연장, 전시장 등의 건립은 세계 5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 시대를 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99,000
    • +0.15%
    • 이더리움
    • 5,342,000
    • +1.17%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1.49%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900
    • -0.3%
    • 에이다
    • 632
    • +1.12%
    • 이오스
    • 1,138
    • +0.26%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50
    • -0.52%
    • 체인링크
    • 25,890
    • +1.13%
    • 샌드박스
    • 626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