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ESS 韓 독주… LG화학·삼성SDI 동반 점유율 ‘40%’

입력 2016-10-24 10:24 수정 2016-10-24 15: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양사 총 점유율, 내년 50% 돌파 예고

LG화학이 전 세계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삼성 SDI가 그 뒤를 바짝 쫓으면서 올해 국내 업체들의 ESS 시장 점유율이 40%로 올라섰다.

글로벌 에너지전문 조사기관 SNE리서치는 4분기 추산치를 포함한 전 세계 리튬이온배터리(LiB) ESS 시장 규모가 지난해 1647MWh에서 올해 2872MWh로 약 74% 성장했다고 24일 밝혔다. ESS란 리튬이온전지, 납축전지 등을 사용해 전력을 저장해 두는 장치다.

LG화학은 지난해 293MWh(점유율 18%)에서 올해 591MWh(점유율 21%)로 생산용량을 확대하며 2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241MWh(점유율 15%)를 기록했던 삼성SDI는 올해 544MWh(점유율 19%)로 두 배 이상 늘리며, LG화학과 근소한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SNE리서치는 “LG화학, 삼성SDI, BYD 3강 체계에서 올해 테슬라가 신규 강자로 부상, 점유율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LG화학과 삼성SDI의 공급량은 내년 2GWh를 돌파하면서 시장 점유율 50%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LG화학은 글로벌 최고의 발전회사, 전력회사, 전력엔지니어링회사 등과 ESS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힘쓰고 있다. 이 회사는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사인 SCE에 가정용 ESS를 납품한 것을 시작으로 △스위스 ABB와 메가와트급 ESS 배터리 공급계약 △독일 IBC솔라와 태양광발전용 ESS 계약 △독일 SMA와 차세대 가정용 태양광 ESS 공급계약 △미국 AES ES의 전력관리시스템(EMS) 단독 배터리 공급자격 획득 △일본 GPD와 상업용 태양광 연계형 ESS 공급업체 선정 등 매년 글로벌 업체들을 상대로 적극적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ESS 사업은 대부분 대규모 발전부터 개별 가정에 이르는 전력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유틸리티 업체들에 의해서 진행되기 때문에 실증 단계부터 이 업체들과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시장이 확대되는 시점에 기회를 선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도 국가별로 최적화된 솔루션 계획을 세워 세계 ESS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유럽과 중국은 전력용, 미주는 전력용과 산업용, 일본은 가정용 등 국가별로 최적화된 솔루션을 세워 공급해 세계 ESS 시장을 빠르게 개척 중”이라고 말했다.

삼성SDI는 지난해 스위스 ABB와 ESS 관련 솔루션 공동 개발과 판매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미국 듀크에너지와는 36㎿ 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또 올해 6월에는 테슬라에 20MWh 규모의 ESS용 배터리를 공급했으며, 7월에는 중국 선그로우사와 합작회사인 삼성양광과 양광삼성을 세워 중국 ESS 시장 점유율 높이기에 나선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0: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84,000
    • -0.97%
    • 이더리움
    • 5,229,000
    • -1.71%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31%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3,400
    • +0.21%
    • 에이다
    • 628
    • -1.1%
    • 이오스
    • 1,126
    • +0.36%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29%
    • 체인링크
    • 26,090
    • +2.47%
    • 샌드박스
    • 619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