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너스클럽] 한글과컴퓨터, 오피스 시장 ‘PC-모바일-웹’ 라인업… 매출 1000억 눈앞

입력 2016-08-09 10: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MS 제치고 경기도 교육청 통합오피스 선정… 상반기 영업익 171억, 54분기 연속 흑자

▲한컴은 6월 29일 평창동계올림픽과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자동 통번역’ 부문의 공식후원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한글과컴퓨터는 대회 기간 동안 다국어 번역 오피스인 ‘한컴오피스 네오’와 음성인식 자동통역기 ‘지니톡’을 지원한다.
▲한컴은 6월 29일 평창동계올림픽과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자동 통번역’ 부문의 공식후원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한글과컴퓨터는 대회 기간 동안 다국어 번역 오피스인 ‘한컴오피스 네오’와 음성인식 자동통역기 ‘지니톡’을 지원한다.
아래아한글과 한컴오피스로 대변되던 오피스 소프트웨어(SW) 기업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최근 기존의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신제품 개발과 신규사업 추진에 광폭 행보를 보이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1989년 한글 워드프로세서인 ‘한글 1.0’ 발표 후 1990년에 설립된 한컴은 26년간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거대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경쟁하며 오피스SW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 세계 유일의 기업이기도 하다.

주로 PC용 기반의 오피스를 통해 성장기반을 다져온 한컴은 PC용 오피스에서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제품 개발과 동시에 모바일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품을 확대 및 다각화하면서 빠른 IT환경 변화에 대응해왔다.

지난 1월 한글과 워드를 하나로 통합해 MS오피스를 완벽하게 호환하고 10개 언어로 다국어 번역이 가능한 ‘한컴오피스 NEO’를 선보인 바 있다. 본 제품이 출시되기도 전인 지난해 11월에는 아르헨티나 파이버콥과 선계약 체결에 성공했고, 지난 6월에는 MS오피스를 제치고 경기도교육청 180만 명의 통합 오피스로 선정이 되는 등 잇따른 쾌거 속에 오피스 시장의 판도를 바꿔 나가고 있다.

모바일용 오피스에서는 삼성전자의 주력 모바일 단말기인 갤럭시 시리즈의 폰과 태블릿에 최적화한 안드로이드용 한컴오피스를 지속 공급하고 있다. 클라우드 확산에도 발맞추어 다운로드 없이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이용 가능한 ‘웹오피스’를 개발, 지난해에는 중국 킹소프트와 손잡고 중국 시장에 한컴의 웹오피스를 공급하고 있다.

한컴 관계자는 “PC-모바일-웹을 아우르는 풀오피스 라인업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오피스 서비스인 ‘넷피스 24’를 운영하고 있다”며 “세계 시장에서 절대 뒤지지 않는 기술력을 발판으로, 내수 시장을 넘어 세계 오피스SW 시장 5% 점유를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컴은 주력 사업 외에도 인수합병(M&A)과 자회사 설립을 통해 신규 사업에도 빠르게 진출하고 있다. 한컴은 2014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1위 기업인 ‘MDS테크놀로지’를 인수한 바 있으며, 2015년에는 한컴GMD를 통해 모바일포렌식 1위 기업을 인수합병했고, 기업형 SNS 업체인 ‘DBK네트웍스’도 인수합병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유럽 기반의 PDF 솔루션 기업인 벨기에 기업 ‘아이텍스트(iText)’를 인수하며 글로벌 시장 확산에도 나서고 있다.

빠른 의사결정과 사업 추진을 위해 벤처 형태의 자회사 설립을 통한 신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자동통번역 세계 1위 업체인 시스트란과 지난해 합작설립한 음성인식 자동통번역 업체인 ‘한컴인터프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기술을 출자한 ‘ETRI 연구소기업’으로서, 올해 출시한 음성인식통번역 서비스 ‘지니톡’이 한컴오피스 NEO와 함께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자동통번역SW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4월에 출시한 전자책 독립출판 플랫폼 ‘위퍼블’은 지난 7월 중국 1위 디지털 출판 기업 베이다팡정(北大方正)과 손잡고 중국 시장에 성공적인 첫발을 내딛는 데 이어, 미래부 교육유통 프로젝트 주요 사업자에도 선정되는 등 향후 사업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사내벤처 경진대회의 우승 아이디어를 통해 만들어진 디지털 노트 핸드라이팅 서비스 ‘플렉슬’은 독보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력으로 약 100억 원에 달하는 기업가치평가를 받은 바 있으며 올해 하반기 내에 미국 시장에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한컴은 이러한 적극적인 변화의 노력을 통해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창립 이래 첫 매출액 500억 원을 돌파하며 매출 518억 원, 영업이익 171억 원의 경영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히고, 이는 1996년 9월 상장 이래 54분기 연속 흑자매출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한컴은 2010년 말 김상철 회장의 인수를 통해 가파른 성장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수 당시 4000원대에 머물던 주가는 2만 원 수준까지 올랐으며, 5년간 400억 원대에서 제자리걸음을 하던 매출액은 올해 1000억 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한컴 관계자는 “국내 SW업계에서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기업은 거의 한 손으로 꼽히는 수준인 만큼, 한컴은 국내 SW 시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서의 사명감으로 SW 생태계 조성을 통해 한컴뿐만 아니라 시장의 성숙을 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94,000
    • +0.2%
    • 이더리움
    • 5,333,000
    • +0.93%
    • 비트코인 캐시
    • 684,000
    • +3.4%
    • 리플
    • 726
    • -0.41%
    • 솔라나
    • 239,900
    • +0.84%
    • 에이다
    • 638
    • -0.47%
    • 이오스
    • 1,111
    • -0.71%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8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950
    • +0.74%
    • 체인링크
    • 24,480
    • -0.73%
    • 샌드박스
    • 647
    • +0.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