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제2 중동붐 만들 계기… 경제재도약 모멘텀 되도록 해야”

입력 2016-05-04 12: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근혜 대통령은 이란 방문을 마친 3일(현지시간) 귀국길에서 방문 성과와 관련, “제2의 중동 붐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 수출도 회복하고 경제재도약도 이룰 수 있는 모멘텀이 되도록 많이 챙겨 나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전용기에서 동행 취재진과 간담회를 갖고 “옛날을 돌아보면 한참 우리나라가 경제가 어려울 때 열사의 나라로, 중동에 진출해 나라 경제를 다시 살린 저력이 있지 않았는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에 경제 제재가 해제된 이후에 처음 (이란을) 방문해 두 나라 사이에 새로운 협력 관계를 잘 구축하자는데 대해 아주 확고한 공감대를 이뤘다”면서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와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의 면담에 대해 “그분들이 한국과 아주 다양한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희망이 강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는 이란의 최고 목표는 어떻게 해서든지 경제 부흥을 하는 것으로, 여기에 모든 우선순위를 두고 이란이 노력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계신다”면서 “자연스럽게 (우리가) 경제발전을 할 때 경험과 그분의 관심사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설명했다.

또 “MOU(양해각서)도 66건이나 된다. 굉장히 다지고 다져서 우리가 꼭 할 수 있는 것이 66건”이라며 “(인프라 및 에너지 등의) 프로젝트도 371억 달러 정도다. 일대일 기업 상담회에서 5억4천만 달러 정도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중동에 한류열풍에 대해서도 “이란 국민의 우리 문화에 대한 사랑이 많이 느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란 지도자분들과 만나 대장금, 주몽 이야기를 했고, 상당히 우리 문화에 대해 친근감을 가지고 있었다”면서 “앞으로 이란과 협력 관계를 계속 발전시켜 나가는데 우리 문화에 대해 (이란) 지도자가 친밀한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이 큰 자산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행사를 보면서 문화 교류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며 “후속 조치들을 해나가는 데 있어서 만전을 기하려고 하고, 한국 식당도 이란에 세웠으면 좋겠다는 제의도 있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44,000
    • +0.06%
    • 이더리움
    • 5,221,000
    • +0.58%
    • 비트코인 캐시
    • 667,500
    • +0%
    • 리플
    • 701
    • +0.29%
    • 솔라나
    • 227,600
    • +1.47%
    • 에이다
    • 624
    • +1.46%
    • 이오스
    • 1,000
    • +0.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1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300
    • +1.01%
    • 체인링크
    • 22,920
    • +2.46%
    • 샌드박스
    • 595
    • +2.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