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된 공장 채권회수율 총액대비 35%그쳐…깡통공장 늘어나

입력 2016-04-29 16: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매시장에서 공업시설에 대한 채권회수율이 급격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1월1일부터 4월 28일까지 전국에서 나타난 공업시설(공장, 아파트형 공장, 제조업소)을 전수조사한 결과 채권회수율은 35.5%를 기록했다. 2014년 37.2%를 기록한 이후 2년째 하락 중인 것이다.

올 1월1일부터 4월28일까지 3낙찰된 공업시설은 총 468건으로 이 물건들의 등기부상 총 채권액(근저당, 가압류, 전세권 등 등기부상 채권 총액)은 1조8958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낙찰액은 6735억원에 불과해 1조2223억원 채권이 회수되지 못한 상황이다. 즉 불과 4개월 사이에 1조2000억원 상당의 채무액이 회수불가능 상태가 된 것이다.

실제 지난해 6월 경매개시 결정이 내려진 인천시 남동구 고잔동 소재 oo푸드원 공장은 1회 유찰 끝에 지난 4월 1일 감정가(121억1728만원)대비 75.6%인 85억1990만원에 낙찰이 이뤄졌다. 하지만 등기부상 채권총액은 189억8934만원으로 채권회수율은 44.9%에 그쳤다.

청구액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청구액은 경매신청자가 경매를 통해 환수하겠다고 신청한 채권액이다.

4월까지 낙찰된 공업시설 경매신청자의 청구액 총액은 7091억원으로 낙찰액 6735억원 보다 356억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구총액 대비 낙찰가는 95.0% 수준으로 2014년 103.4%, 2015년은 97.7%로 3년째 비율이 줄어들고 있다. 2016년 동기간 전국 아파트 청구총액 대비 낙찰가율이 141.3%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실제 부동산 가치보다 대출이 많은 깡통아파트처럼 공업시설 부동산 및 기구류의 가치가 채권액을 못 미치는 깡통공장들이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청구액과 채권액 두 가지 데이터를 종합해본 결과 앞서 설명한 채권총액에 근접한 손실이 실제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보이며, 손실비율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부분이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공업시설의 경우 실제 부동산 가치에 비해 기업 역량에 따른 추가 대출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부실로 인해 경매에 나온 경우 시설의 특수성 및 목적성으로 인해 낙찰자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어 채권회수율이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점이 이번 조사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50,000
    • -0.02%
    • 이더리움
    • 5,196,000
    • -2.04%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0.39%
    • 리플
    • 720
    • -1.1%
    • 솔라나
    • 230,400
    • -2.78%
    • 에이다
    • 624
    • -2.04%
    • 이오스
    • 1,108
    • -1.34%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50
    • -0.98%
    • 체인링크
    • 25,320
    • -0.12%
    • 샌드박스
    • 605
    • -3.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