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브뤼셀 공항 폭탄테러…IS는 왜 벨기에 겨냥했나

입력 2016-03-23 14: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EU사무실 자리한 유럽 수도, 실패한 이민정책에 대테러 능력 취약

(연합뉴스)
(연합뉴스)

벨기에 브뤼셀 공항 테러와 관련해 IS가 벨기에를 겨냥한 이유에 관심이 쏠렸다.

브뤼셀 국제공항 폭탄 테러를 수사 중인 벨기에 경찰은 22일(현지시간) 도주한 테러 용의자 가운데 한 명을 공개 수배했다. 이날 벨기에 언론은 공항 테러의 용의 선상에 있는 인물들이라며 사진 한 장을 보도하기도 했다.

사태 수습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건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IS가 벨기에를 겨냥한 배경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벨기에 수도 브뤼셀은 인구가 100만 명 남짓이다. 유럽 주요 국가의 수도 가운데 비교적 작은 규모의 도시다.

브뤼셀은 이번 테러 공격에 앞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잠재적인 테러 장소로 꼽혀왔다. 지난해 11월 파리 테러 이후 테러가능성이 제기된 곳이기도 하다. 벨기에 역시 테러 경보를 최고 등급으로 높이고 대중교통과 학교를 임시 폐쇄하며 테러 가능성에 대비하기도 했다.

테러 가능성이 커진 이유 가운데 벨기에 이민정책의 실패도 꼽힌다.

이민정책에 따른 후속조치의 실패도 문제였다. 지난 18일 파리 테러 4개월 만에 생포된 살라 압데슬람이 살던 브뤼셀 인근 몰렌베이크 지역에 국제사회의 우려가 집중됐던 곳이다. 인구 10만 명 가량인 몰렌베이크는 50년 전부터 터키와 모로코 출신 이민자들이 정착한곳이다. 이후 현재 인구의 30% 이상이 무슬림이다.

무슬림 이민자 가운데 벨기에 사회에 통합되지 못한 이들이 빈부 격차와 차별에 반감을 키우기도 했다. 강력 범죄가 늘어나면서 몰렌베이크는 현지인들조차 접근을 꺼리는 슬럼으로 변했다. 절망감에 빠진 무슬림들이 극단주의 성향에 쉽게 빠져들었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제급진주의연구센터(ICSR)에 따르면 벨기에의 인구 대비 지하드(이슬람 성전) 참전 비율은 인구 100만 명당 40명꼴로 유럽에서 가장 높다.

500명가량의 벨기에 국적자가 시리아와 이라크로 들어가 IS 등에 합류했고, 이 가운데 100명가량이 다시 벨기에로 돌아온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브뤼셀이 유럽연합(EU)의 본부가 위치한 EU의 수도라는 점도 테러범들이 브뤼셀을 택하게 한 요인이다. 폭탄 테러가 발생한 브뤼셀 도심의 말베이크 지하철역은 EU 본부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아직 EU 관계자가 사상자에 포함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테러범 입장에서는 EU 본부 인근에서 테러를 자행함으로써 '유럽의 심장'을 공격했다는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셋째 벨기에는 또 영국과 독일, 프랑스 등 유럽 3대 국가의 가운데에 위치해 지리적으로도 '유럽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여러 나라와 맞물려 테러 이후 도주가 용이하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2:5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26,000
    • -0.46%
    • 이더리움
    • 4,953,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0.18%
    • 리플
    • 690
    • -0.86%
    • 솔라나
    • 187,300
    • -0.16%
    • 에이다
    • 546
    • -0.18%
    • 이오스
    • 816
    • +0.74%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3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0.72%
    • 체인링크
    • 20,140
    • -0.44%
    • 샌드박스
    • 473
    • +3.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