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도로분야 민간투자 2조7000억원 추진...전년比 18% 증가

입력 2016-02-2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가 올해 도로 분야에 2조7000억원의 민간투자를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는 지난해보다 18% 증가한 2조7000억원의 민간자본을 구리-포천 등 추진 중인 11개 고속도로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또한 서울-세종(약 6조7000억원), 경인지하화(약 1조원) 사업의 추진과 신규사업 적극 발굴을 통해 민간투자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중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서울-성남 구간을 일괄입찰(턴키) 방식으로 올해 말 착공한다.

성남-안성 구간은 일반공사 방식으로 내년 말 착공해 서울에서 안성까지 2022년 우선 개통하고, 안성-세종 구간은 민자적격성조사를 올해 완료한 뒤 내년에 협상에 착수해 2025년 이전에 개통할 계획이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올해 민자적격성 조사에 착수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는 등 사업 추진을 본격화한다.

특히 경인지하화 사업이 완료되면 도로 용량이 늘어나고 이용자들이 지하의 고속도로와 상부의 일반도로를 선택할 수 있어 교통 흐름이 개선되고 이용자 만족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서울-세종 고속도로, 경인지하화 사업 및 신규 발굴 사업은 통행료를 낮추고 재정지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년에 새로 도입된 투자위험분담방식(BTO-a, BTO-rs)을 적용하게 된다.

또한 국토부는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혼잡 개선을 위한 수원-광명(27.4km)과 평창동계올림픽을 지원한다.

이어 영동고속도로 정체를 완화하기 위한 광주-원주(57.0km) 고속도로를 각각 4월과 11월에 개통하고 봉담-송산(18.2km)․이천-오산(31.3km) 고속도로도 올해 착공한다.

이외에도 국민들이 민자 고속도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재정-민자 무정차 통행료납부(One-Tolling) 시스템을 올해 11월 시행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현재는 서울에서 광주까지 경부ㆍ천안-논산ㆍ호남 고속도로 이용시 통행료를 총 3회 지불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광주요금소에서 통행료를 한 번만 지불하면 된다.

국토부 김일평 도로국장은 “한정된 재정여건을 보완해 필요한 도로를 적기에 확충하기 위해서는 민간 투자가 병행돼야 한다”면서“특히 최근의 저금리 기조로 풍부한 민간자본을 좋은 조건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간접자본(SOC) 조기 확충 및 경제활성화를 위해 민간투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2:3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59,000
    • -0.26%
    • 이더리움
    • 4,953,000
    • +0.75%
    • 비트코인 캐시
    • 614,000
    • -2.15%
    • 리플
    • 679
    • -0.88%
    • 솔라나
    • 209,100
    • -1.78%
    • 에이다
    • 597
    • -1.32%
    • 이오스
    • 958
    • -1.64%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000
    • -0.83%
    • 체인링크
    • 21,690
    • -0.32%
    • 샌드박스
    • 559
    • -0.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