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평, 메리츠·NH 등 9개 증권사 우발채무 1조 이상

입력 2016-01-28 16: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본대비 우발채무비중 100% 넘는 회사도 5개사에 달해

메리츠증권 등 일부 증권사들의 우발채무 부담이 과중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신용평가가 2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한 ‘2016년 제1차 크레딧 이슈 세미나’에서 ‘증권, 우발채무 리스크 확대와 규제환경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안지은 한신평 연구위원은 “최근 영업환경과 제도 변화, 대체 사업 발굴 등에 따라 중형사를 중심으로 공격적 영업이 이어지면서 우발채무 부담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실제 지난해 9월말 현재 1조원이 넘는 우발채무를 보유한 증권사는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현대증권 등 9개사에 달했다. 또 자본대비 우발채무 비중이 100%를 넘는 증권사도 메리츠증권과 교보증권, HMC투자증권 등 5개사를 기록했다.

이같은 증가세는 은행의 리스크관리 강화와 건설사의 신용보강 여력 감소에 따라 신용공여 주체가 증권사 등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아울러 채무보증 등에 대한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 완화도 대형증권사의 투자 여력은 확대한 반면 중소형 증권사의 업무범위는 축소시키는 쪽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주가연계증권(ELS) 등 중수익·중위험 금융상품 판매 증가로 주가 및 환위험 노출은 물론 레버리지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증권사들의 레버리지비율은 2010 회계연도 5.3배에서 2015년 3분기 현재 8.3배까지 치솟았다.

유가증권 운용규모 확대에 따라 금리위험 노출과 자기매매이익의 변동성도 늘었다고 덧붙였다. 실제 2011 회계연도 기준 1조4000억원에 달했던 자산운용수익이 2013회계연도엔 5000억원 손실을 기록하기도 했다.

안 연구위원은 “우발채무의 실질 리스크에 대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57,000
    • +1.53%
    • 이더리움
    • 5,277,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58,000
    • +1%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4,400
    • +1.87%
    • 에이다
    • 642
    • +1.9%
    • 이오스
    • 1,118
    • -0.8%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00
    • +0.82%
    • 체인링크
    • 24,570
    • -0.24%
    • 샌드박스
    • 640
    • +0.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