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벤처썸머포럼] 선배 벤처인들의 한 목소리 “정부 정책, 이젠 질적 성장 이끌어야”

입력 2015-08-27 16: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벤처기업협회가 26일부터 28일까지 제주 하얏트 리젠시에서 '2015 벤처썸머포럼'을 개최했다. 정준 벤처기업협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벤처기업협회)

“정부 정책도 이제 양보다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선배 벤처기업인들이 향후 정부 벤처정책 방향이 '질적 성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정부들어 벤처 활성화 정책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자만, 아직도 현장에선 질적인 정책 체감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정준 벤처기업협회장은 27일 제주 하얏트 리젠시에서 열린 ‘2015 벤처썸머포럼’ 조찬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정부들어 협회 차원에서 M&A 정책, 초기기업 투자, 코스닥 분리 등 정부에 다양한 정책 제안을 했는데, 이것들이 많이 반영돼 의미가 있었다”며 “하지만 아직까지 부족한 부분은 있어, (정책적인) 고민이 필요한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벤처펀드 투자액은 95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4% 늘었고, 지난해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벤처기업 수도 사상 최대인 460개로 집계되는 등 최근 몇년간 벤처업계의 양적인 성장이 이어졌다. 하지만 여전히 대기업들과의 불공정한 거래, 각종 인증 등 벤처기업들이 질적으로 성장할 있는 기회를 뺏는 장애 요소들이 많다는 지적이다.

정 회장은 "이젠 정부 정책도 양보다 질적 성장을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지를 고민해야할 때가 왔다"며 "우수 인재들이 벤처업계로 얼마나 뛰어들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생태계 구축은 물론 경쟁력 증가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젊은 벤처인들을 발굴하기 위해 청년들을 중심으로 협회 내부 포럼을 구성하는 등 선배-후배 벤처기업간 교류를 강화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벤처창업 1세대인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도 정부 정책에서 일부 개선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창조혁신제품들을 만들어도 긴 시간이 걸리는 각종 인증, 규제 등으로 초기시장에서 사장되고 있는 현실을 꼬집었다.

황 대표는 "국내 벤처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창조혁신 제품의 각종 인허가 과정으로 인해 시기를 놓치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창조제품초기시장육성위원회를 만들어 창조제품들이 초기시장을 빠르게 선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영 한국여성벤처협회장은 여성 벤처기업인들을 위한 정책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여성벤처기업 숫자는 전체의 약 8% 수준에 불과한 게 현실"이라며 "육아문제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 창업한 것이어서 생계형보다, 기술창업형식이 많은데 아직도 사회적인 인식은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구매제도에서 여성기업제품 의무구매율 5%를 제한하고 있긴 하지만, 이마저도 일부에선 눈속임을 통해 혜택을 보는 경우가 많다"며 "이 같은 여성벤처인들을 위한 정책에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여성벤처인의 비중도 약 3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556,000
    • +0.98%
    • 이더리움
    • 5,325,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685,000
    • +3.63%
    • 리플
    • 729
    • +0.28%
    • 솔라나
    • 239,700
    • +1.96%
    • 에이다
    • 640
    • +0.47%
    • 이오스
    • 1,120
    • -0.36%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750
    • +2.36%
    • 체인링크
    • 24,570
    • +0.66%
    • 샌드박스
    • 651
    • +1.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