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6S 디자인, 더 두껍고 더 강해진다? "색상 변화도 있을 것"

입력 2015-06-18 10: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이폰6S 디자인, 더 두껍고 더 강해진다? "색상 변화도 있을 것"

▲애플 아이폰6. 출처 블룸버그

애플의 차세대 스마트폰 아이폰6S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전망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간) 애플 전문매체 애플인사이더는 궈밍치 타이완 KGI증권 분석가가 투자자들에게 보낸 보고서를 인용해 아이폰6S의 외양상 변화를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먼저 아이폰6S는 아이폰6보다 0.15mm가량 좌우, 상하로 좀 더 커지면서 두께는 0.2mm 두꺼워진다. 이는 아이폰6S에 포스터치(Force Touch) 기술이 탑재되기 때문이다.

포스터치는 사용자가 스크린을 누르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기술로 앞서 애플이 "멀티 터치이래 가장 뛰어난 새로운 감지능력"으로 소개한 바 있다. 스크린을 통해 측정된 압력은 햅틱 피드백으로 응답해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미 애플워치와 신형 맥북프로에 적용된 이 기술은 화면을 터치해 단어의 정의를 불러올 수 있고 홈 스크린의 배경 이미지, 애니메이션 변경 등 더 많은 사용자경험(UX)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애플워치에 적용됐던 가장 강한 알루미늄소재 7000시리즈가 아이폰6S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밴드게이트 논란에 휩싸였던 아이폰6에 대한 보완이다.

마지막으로 아이폰6S 색상이 현재 아이폰6와는 조금 달라질 예정이다. 예를 들어 현재의 골드 색상은 황금색으로 좀 더 밝게, 스페이스 그레이 색상은 좀 더 어둡게 변한다는 것이 보고서의 내용이다.

한편 16일 미국 IT 전문매체 폰아레나 역시 통 지시안 페가트론 회장의 발언을 인용해 오는 9월 출시예정인 애플의 차세대 아이폰6S(아이폰7)가 이미 개발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생산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폰아레나에 따르면 페가트론 회장은 전날 열린 주주총회를 통해 "많은 아이폰6S(아이폰7)의 주문량을 소화하기 위해 중국 전역에서 생란라인 인력을 대거 보강했다"고 밝혔다.

페가트론은 대만 타이페이에 본사를 둔 전자제품 제조기업으로 폭스콘과 마찬가지로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의 기기를 조립해 납품 중인 기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4:2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65,000
    • -0.34%
    • 이더리움
    • 5,235,000
    • -1.87%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77%
    • 리플
    • 729
    • -0.41%
    • 솔라나
    • 234,400
    • -0.97%
    • 에이다
    • 628
    • -1.72%
    • 이오스
    • 1,126
    • -0.53%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50
    • -0.86%
    • 체인링크
    • 25,910
    • +2.13%
    • 샌드박스
    • 617
    • -2.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