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과일 1분기 ‘쑥쑥’…국산 과일 올해도 ‘흐림’

입력 2015-04-13 10: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입과일 성장세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13일 롯데마트가 올해 1분기(1~3월) 과일 매출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국산 과일은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2.0% 줄어든 반면 줄어든 반면, 수입과일은 6.7% 늘어났다. 내수 침체에도 수입과일 덕분에 올해 1분기 전체 과일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0.7% 소폭 증가했다.

국산 과일 중에서는 딸기만 겨울 과일 특수를 누리며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7% 신장했다. 토마토 매출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1.2%)에 머물렀다.

명절 대표 과일로 불리는 사과와 배는 명절 소비 부진으로 각각 2.1%와 17.8%씩 감소했으며, 특히, 배의 경우 저장량과 출하량이 증가하며 가격이 전년보다 최대 20% 가까이 떨어지면서 매출 하락세가 사과보다 더 컸다.

수입 과일의 경우 칠레 포도는 성수기가 시작되는 2월에 명절이 끼면서, 오렌지는 작황 부진 및 미국 항만노조 파업에 의한 수급 불안정으로 매출이 저조했지만 나머지 품목들이 전반적인 신장세를 기록했다.

바나나 매출은 2.9% 신장했고, 망고, 체리 등도 각각 109.4%, 758.1% 이상 늘었다. 특히 체리는 한-호주 FTA 혜택을 받은 호주산이 본격 등장하며면서 기존 여름 과일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겨울에도 팔리는 과일로 자리 잡게 됐다. 블루베리 역시 건강 식품에 대한 인기 덕택에 매출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수입 과일이 소비자들의 식탁에 자주 오르게 되면서 전체 과일 매출 중 수입 과일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0년 29.7%에서 지난해 35.4%로 올라갔다.

한편, 롯데마트는 ‘신선식품 품질혁신’ 경영 도입에 따라 신선식품의 진열 기간을 줄여 가장 신선할 때 판매하고 품질 차별화를 위해 당도 선별 작업을 한층 강화했으며, 품질 좋은 국산 및 수입과일을 선보인다.

신경환 롯데마트 과일팀장은 “올해 1분기에 수입 과일은 맑았지만, 국산 과일은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며 “4월부터는 수박, 참외 등 국산 과일의 판매가 본격화되기 때문에 품질 좋은 국산 과일을 더욱 자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33,000
    • -0.44%
    • 이더리움
    • 5,270,000
    • +1.17%
    • 비트코인 캐시
    • 637,500
    • -1.32%
    • 리플
    • 725
    • +0.42%
    • 솔라나
    • 232,200
    • +0.09%
    • 에이다
    • 626
    • +0.64%
    • 이오스
    • 1,140
    • +1.51%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50
    • -0.12%
    • 체인링크
    • 25,790
    • +3.95%
    • 샌드박스
    • 607
    • -0.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