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긴급복지지원 신청 대상 범위 확대

입력 2015-03-01 11: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긴급복지지원법시행령 ․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보건복지부는 긴급복지지원법 시행령ㆍ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2일부터 4월 11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1일 밝혔다.

긴급복지지원법 시행령 개정에 따르면 긴급지원대상자가 의식불명 등 불가피한 상황에서 법정 자료 제출의 입증책임을 할 수 없는 상황의 경우 ‘선지원(1개월, 1회)’이 가능 할 수 있도록 자료 제출의 예외사항 사유를 구체적으로 규정했다.

소득기준 역시 기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최저생계비 ‘120 ~150% 이하’를 ‘185% 이하’로 상향했다.

이와 함께 긴급지원대상자에게 생계보호를 강화하고자 신설된 긴급지원수급계좌의 신청 방법 및 절차, 계좌 이체 불가피한 사유, 직접 현금을 지급할 근거 등에 관한 규정을 마련했다.

긴급복지지원법 시행규칙 개정안에는 일상생활속에서 잠재적으로 생계형 위기상황에 처한 사람의 위기 징후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위기사유 기준을 마련했다.

위기상황에 처한 사람을 신속하게 발굴을 위해 긴급지원대상자를 발견, 신고 할 수 있는 자의 범위를 기존 의료기관 종사자, 교원, 복지위원, 공무원에서 이장, 통장, 새마을지도자, 부녀회장, 농협 조합 및 중앙회 직원, 우체국 직원 등을 추가로 규정했다.

복지부는 입법예고 기간 중 긴급복지지원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후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개정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 → 정보 → 법령자료 → 입법/행정예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번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오는 4월 11일까지 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과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한편 복지부는 긴급지원 신청 및 접수를 시군구에서 읍면동까지 확대하고, 금융재산 기준을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완화한다.

또한 위기사유 확인을 위한 증빙서류 제출이 어려운 경우 현지확인(사실조사서)으로 확인대체를 하고 읍면동에서도 현장확인 등을 협업하도록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위기사유 동일시 지원이 종료된 때로부터 2년이 경과한 후에는 동일한 사유로 재지원 가능하도록 하는 등 대폭적으로 제도 개선 사항을 마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3차 오물 풍선 살포에 모든 부대 휴일에도 비상근무
  • 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 ‘경고등’…11년만에 최고
  • '그알' 태국 파타야 살인 사건, 피해자 전 여자친구…"돈 자랑하지 말랬는데"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정부, 9일 의협 집단휴진 예고에 총리 주재 대응방안 발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825,000
    • +0.08%
    • 이더리움
    • 5,193,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62,000
    • -2.79%
    • 리플
    • 697
    • -1.13%
    • 솔라나
    • 223,500
    • -2.32%
    • 에이다
    • 615
    • -2.07%
    • 이오스
    • 996
    • -2.54%
    • 트론
    • 162
    • +1.89%
    • 스텔라루멘
    • 140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850
    • -2.26%
    • 체인링크
    • 22,650
    • -1.91%
    • 샌드박스
    • 583
    • -4.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