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1호기 계속운전 결정 또 연기…26일 회의서 재논의

입력 2015-02-13 05: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원안위원들, 안전성 이견 '뚜렷' …표결로도 결론 못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2일 월성 원전 1호기 계속운전 여부를 심사했지만 안전성 검토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최종 결론을 내지 못하고 차기 회의에서 재논의하기로 했다.

원안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을 재상정해 심의했으나 오는 26일 특별회의를 열어 심의를 계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지난달 15일 3년여 동안 계속운전을 위한 심사를 벌였지만 원자력안전기술원과 민간검증단의 의견이 맞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회의를 연기한 바 있다.

이날 오전10시부터 밤11시까지 마라톤회의가 이어지면서 일부 위원이 표결처리를 제안하기도 했지만 안전성 확인을 위한 질문이 남아 있다는 일부 위원의 이의제기로 표결은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9명 위원 전원 참석한 회의에서 위원들은 지진 등 자연재해시 안전성, R-7 등 최신 안전기준 적용 문제, 계속 운전시 안전성 확보 가능 여부 등을 두고 큰 의견 차이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오전 회의에서는 지난달 회의에서 논의가 마무리되지 못한 스트레스테스트 검증단 보고서 중 지진 안전성 문제와 관련해 원자력안전전문위원이 지진 관련 전문가들을 상대로 수렴한 의견을 보고했다.

또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은 안전 개선사항 이행계획을 보고하고 월성 1호기 인근 주민수용성 추진현황과 향후 방안에 대한 질의응답에 응했다

오후 회의에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서균렬 교수가 출석해 R-7 안전기준 적용 문제에 대한 우려 의견을 밝혀 이에 대한 논의가 오랫동안 이어졌다.

서 교수는 최근 월성 1호기와 같은 캔두(CANDU)형 중수로 원전을 운영하는 캐나다 정부가 1991년부터 원자로 냉각재 상실사고 발생 상황에 대비해 격납용기 안정장치를 강화하도록 한 안전기준(R-7)이 월성 2·3·4호기에만 적용되고 1호기에는 적용되지 않아 안전이 우려된다고 주장해왔다.

원안위 결정이 또다시 연기되면서 찬반 공방도 한층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계속운전 찬성 측은 KINS가 계속운전 심사결과와 한수원이 재가동을 위한 안전 설비투자 등에 이미 5600여억원을 투입한 점, 영구정지 결정 시 전력수급 문제 등을 거론하며 계속운전 허가를 주장하며 맞서고 있다.

이에 반해 반대 측은 지역 주민의 반발과 국회 예산정책처가 월성 1호기·고리 1호기 폐로 후에도 전력수급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힌 점, ‘계속 운전시 안전성 보장이 어렵다’는 스트레스테스트 민간검증단의 지적 등을 들어 원전 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월성 1호기 계속운전 심사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참사 후 처음 진행되는 노후원전 수명연장 심사여서 2017년 1차 수명연장 기간이 끝나는 고리 1호기의 계속운전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관심이 모아진다.

한편 설비용량 67만9천㎾인 월성 1호기는 1983년 4월 상업운전을 시작해 2012년 11월 설계수명 30년이 끝남에 따라 가동이 중단됐다. 이에 한수원은 2009년 12월 운전기간을 10년 연장하는 계속운전 신청을 해 원안위가 심사를 진행해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트럼프 틱톡, 개설 사흘 만에 팔로워 500만…35만 바이든 캠프 압도
  • 현충일 ‘초여름 더위’ 지속…전국 곳곳 소나기 소식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14: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94,000
    • +2.17%
    • 이더리움
    • 5,235,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668,000
    • +4.05%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9,900
    • +4.08%
    • 에이다
    • 639
    • +0.31%
    • 이오스
    • 1,112
    • +0.91%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600
    • +3.24%
    • 체인링크
    • 24,800
    • +1.06%
    • 샌드박스
    • 641
    • +2.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