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렌피딕 위스키 어떻게 만들어질까?” 체험 증류소 다녀와 보니…

입력 2014-11-17 17: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윌리엄그랜트앤선즈코리아)

장인은 오크통 주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돌며 망치로 쇠로된 테(hoop)를 쳐내려갔다. 접착제 없이 나무 조각만으로 견고한 짜임을 만들기 위한 것. 그렇게 만들어진 통 안에서 길게는 반세기가 넘도록 술이 익는다.

17일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마련된 ‘글렌피딕 익스피리언스’ 행사장은 위스키 향과 오크통을 두드리는 묵직한 소리로 가득 차 있었다. 싱글몰트 위스키 브랜드 글렌피딕은 14일부터 20일까지 증류 과정을 체험하는 행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행사에는 45년 경력의 오크통 제작 장인 이안 맥도날드(Ian McDonald)가 초청돼 오크통 제작 시연을 펼치고 있다.

이안은 “대부분의 증류주 회사들은 생산단가를 줄이기 위해 오크통 관리를 외부업체에 위탁 하지만 글렌피딕은 오크통을 직접 유지보수 하고 있다”며 “오크통은 위스키의 맛과 향, 색깔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말했다.

글렌피딕 싱글몰트 위스키는 수제 오크통의 역할이 빛나는 술이다. 재료로 몰트(맥아)가 100% 사용되고 한 증류소 내에서 나온 것만을 병에 담았을 때 싱글몰트 위스키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접하는 블렌디드 위스키가 호밀이나 옥수수 등을 원료로 거대 플랜트의 연속식 증류기를 통해 알코올을 대량생산하는 것과 차별화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싱글몰트 위스키 제조 전 과정을 영상과 인포그래픽, 소품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보리의 탄수화물에서 당분을 추출하는 당화과정, 당화액에 효모를 넣어 약 7도의 알코올을 만드는 발효과정, 다시 고깔 모양의 단식 증류기를 통해 약 70도의 고품질 알코올로 변하는 증류과정 등이 비춰진다.

글렌피딕 브랜드 매니저 김종우 대리는 “이번 행사는 단 한 곳의 증류소에서만 생산되는 싱글몰트 위스키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마련했다”며 “다양한 체험을 통해 싱글 몰트 위스키의 개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887년부터 5대째 가족 경영을 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기업 윌리엄그랜트엔선즈(William Grant&Sons)는 1963년 블렌디드 위스키에 맞서 싱글 몰트 위스키 분야를 개척하고 글렌피딕 브랜드를 수출했다. 윌리엄그랜트엔선즈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위스키 시장은 전년대비 12.8% 감소했지만 글렌피딕은 싱글몰트 트렌드를 이끌며 11.3% 가량 판매량이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440,000
    • +0.99%
    • 이더리움
    • 5,329,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686,000
    • +4.1%
    • 리플
    • 729
    • +0.28%
    • 솔라나
    • 239,600
    • +2.09%
    • 에이다
    • 639
    • +0.16%
    • 이오스
    • 1,118
    • -0.18%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300
    • +1.55%
    • 체인링크
    • 24,570
    • +0.7%
    • 샌드박스
    • 652
    • +2.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