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원 저축은행중앙회장, 저축은행-예보 소원한 관계 풀까

입력 2006-08-28 0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 24일 상호저축은행중앙회는 정기주주총회를 갖고 김석원 씨를 신임 회장으로 선출했다.

김석원 신임 회장은 47년 충북 청주 출신으로 청주고, 경희대 행정학과, 일본 히또쓰바시대학 대학원 상학부(경제학 석사) 등을 졸업했다.

76년 제 19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재무부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재무부 공보담당관, 장관 비서관, 중소금융과장, 보험제도과장, 한국국세조세교육센터 운영소장, 본부국장 등을 역임했다. 2001년 금융감독위원회로 자리를 옮겨 대변인, 기획행정실장(관리관) 등을 지내다 지난 2002년 예금보험공사 부사장을 3년간 역임했다.

김 회장은 역대 저축은행중앙회장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던 고위직 관료 출신이다. 관료 출신으로 중앙회장을 역임한 인사들은 대부분 이사관(2급) 출신이었으나, 김 회장은 관리관(1급) 출신이다.

이 때문에 중요한 기로에 있는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최고위직 출신 관료를 신임 회장으로 선출됐다는 점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김 회장이 출마의 변에서 밝혔듯이 앞으로 저축은행의 발전을 위해 ‘과다한 영업규제’의 해소를 위해 뛰어줄 것을 적극적으로 바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기적인 문제 해결 외에 단기적으로 저축은행 내부에서는 신임 김 회장에 대한 ‘우려 아닌 우려’가 하나 있다.

바로 김 회장이 예금보험공사 출신이라는 점이다.

저축은행은 예보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있다. 예보에 대해 갖고 있는 불만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우선 매년 국정감사 때마다 예보는 저축은행의 방만한 경영 때문에 기금이 바닥났다며 저축은행의 문제점을 꼬집어 내고 있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한나라당의 김정부 의원은 “부도율이 100%인 저축은행이 8곳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저축은행업계는 김 의원의 이러한 주장보다는 예보에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

김 의원은 이 주장의 근거가 예보가 운영중인 리스크관리시스템 자료를 근거로 나왔기 때문이다.

예보는 금감원으로부터 저축은행에 대한 검사권을 요구해 왔다.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예보의 이러한 요구도 불만이다. 은행이나 증권, 보험 등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못하면서 상대적 약자인 저축은행에 대해서만 ‘큰 소리’를 치려고 한다는 것이다. 예보에 검사권이 주어지면 이중 검사체제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또 예보는 저축은행에 경영컨설팅을 해주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저축은행이 원해서 해주는 것이 아니라 예보가 알아서 저축은행에 통보 방식으로 해주고 있다는 점이 문제. 특히 예보에서는 컨설팅을 위해 나갈 때 꼭 대표이사가 참석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감독당국도 아닌 곳에 이러한 컨설팅을 강제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불만일 수밖에 없다.

이뿐만 아니다. 현재 저축은행과 예보는 소송이 진행중이다. IMF 외환위기 당시 저축은행의 검사권을 담당하던 신용관리기금이 해체되면서 지준예탁금은 저축은행중앙회로, 출연금은 예보로 각각 이관됐다. 그런데 당시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지원이 출연금에서 처리됐어야 하는데, 이를 예탁금에서 처리해 이관한 것. 이 금액이 무려 2000억원이 넘는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이의 반환을 지속적으로 요구했지만, 예보가 거부 지난해 말 소송을 제기했다. 현재 3차 변론이 진행돼 빠르면 금년 중 1심 판결이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저축은행과 예보에는 보이지 않는 갈등이 많다. 특히 소송건은 역시 재경부 출신인 전임 김유성 회장이 빼낸 칼을 신임 김석원 회장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다.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저축은행의 입장에 서서 예보와의 이러한 갈등을 해소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가 주어진 셈이다.

예보 부사장을 지낸 김석원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짊어진 단기 과제인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2:4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164,000
    • -0.68%
    • 이더리움
    • 5,036,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594,500
    • -2.3%
    • 리플
    • 686
    • -1.44%
    • 솔라나
    • 207,500
    • +1.62%
    • 에이다
    • 580
    • -0.34%
    • 이오스
    • 903
    • -2.8%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250
    • -2.29%
    • 체인링크
    • 20,850
    • +0.29%
    • 샌드박스
    • 523
    • -2.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