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담화]박 대통령, 유병언 겨냥 “구상권 행사 특별법 내겠다”

입력 2014-05-19 10: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구상권 행사 못하면 혈세로 기업잘못 막아야 하는 기막힌 일 생겨”

박근혜 대통령은 19일 세월호 참사의 사고 책임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는 특별법안을 정부 입법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구상권 행사를 위해 책임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 제3자 앞으로 돌려놓은 재산까지 환수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겠다는 뜻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대국민 담화를 통해 “이번 사과와 관련해 국가가 먼저 피해자들에게 신속하게 보상을 하고 사고 책임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는 특별법안을 정부입법으로 즉각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사고를 낸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실 소유주로 알려진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을 겨낭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이번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선장과 일부 승무원들의 직무유기와 업체의 무리한 증축과 과적 등 비정상적인 사익추구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고를 일으킨 청해진해운은 지난 1997년에 부도가 난 세모그룹의 한 계열사를 인수해 해운업계에 진출한 회사”라면서 17년 전 3000억원에 가까운 부도를 낸 기업이 회생절차를 악용해 2000억원에 이르는 부채를 탕감받고, 헐값에 원래 주인에게 되팔려서 탐욕적인 이익만 추구하다 이번 참사를 내고 말았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이런 일을 더 이상 용납해선 안된다”며 “앞으로 기업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입히면서 탐욕적으로 사익을 추구해 취득한 이익은 모두 환수해서 피해자들을 위한 배상재원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그런 기업은 문을 닫게 만들겠다”고 경고했다.

박 대통령은 “범죄자 본인의 재산뿐 아니라 가족이나 제3자 앞으로 숨겨놓은 재산까지 찾아내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에 크나큰 희생을 당한 분들이 부도덕한 기업과 범죄자들로부터 피해를 보상받느라 또 한 번 고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만약 그렇게 구상권을 행사하지 못한다면 죄지은 사람이나 기업의 잘못을 국민의 혈세로 막아야 하는 기막힌 일이 생기게 될 것“이라고 거듭 법 개정의지를 피력했다.

[정정 및 반론보도문]

위 기사와 관련하여, 유 전 회장 유족 측은 유 전 회장이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주식은 물론, 천해지‧아이원아이홀딩스의 주식을 전혀 소유하지 않았기에 세월호의 실소유주가 아니라고 알려왔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인 시황 어디서 봐?"…'애그리게이터'만 알면 한눈에 파악한다 [코인가이드]
  • ‘법정관리’ 엑시트 옵션 불과…제2, 제3의 홈플 나온다 [사모펀드의 늪]
  • 올봄 한국인 여행객이 사랑한 인기 여행지는 또 '일본' [데이터클립]
  • 역린 건드린 KIA 홍종표…야유보다 무서운 無응원 [해시태그]
  • "골프는 원래 정장 입고 하는 스포츠?" [골프더보기]
  • 에너지 취약계층이라면…산업부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신청해볼까 [경제한줌]
  • BTS가 불 붙이고, 제니가 방점 찍었다?…'콘서트 가격 논란'의 본질 [이슈크래커]
  • 故 김새론 측 "김수현 소속사, 2차 증명서까지 보내…SNS 사진 게재까지 막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3.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00,000
    • +0.37%
    • 이더리움
    • 2,805,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492,500
    • +1.99%
    • 리플
    • 3,425
    • +0.41%
    • 솔라나
    • 189,300
    • -1.87%
    • 에이다
    • 1,060
    • +0.95%
    • 이오스
    • 717
    • -0.14%
    • 트론
    • 315
    • -0.63%
    • 스텔라루멘
    • 398
    • +1.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570
    • +0.45%
    • 체인링크
    • 20,250
    • +0.65%
    • 샌드박스
    • 420
    • +2.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