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창조경제 스위스에서 답을 찾는다] 스위스 창조경제 DNA는 ‘열린 생각’

입력 2014-04-16 14:58 수정 2014-04-17 1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두뇌유출(Brain Drain) 지수는 4.63로 조사대상 60개국 중 37위에 머물렀다. 두뇌유출지수가 0에 가까울수록 고국을 떠나 해외에서 일하는 인재가 늘어나 국가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반대로 10에 근접하면 국내에서 취업한 인재가 더 많아 나라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가 된다. 해외취업이 주로 이뤄지는 분야는 이공계. 한국 과학기술 분야의 고급 두뇌 유출에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특히 인력유출은 창의적 두뇌자본 축적과 혁신적 투자를 위축시켜 과학기술과 벤처기업 중심의 창조경제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점에서 시급히 개선돼야 할 문제다.

반면 작년 스위스의 두뇌유출 지수는 7.6으로 2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와 스위스는 모두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세계 상위권이다. 우수한 인적자원을 기반으로 경제발전을 이뤘다는 점도 비슷하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와 달리 스위스는 어떻게 고급 과학두뇌를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일까.

◇인재와 글로벌 기업, 국제기구가 모이는 스위스 = 스위스는 국내의 우수 인재의 해외취업이 적고 다양한 인종과 국가의 인재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스위스 대학의 박사과정 60~70%는 외국인이고, 스위스 100대 기업 최고위직 중 45%가 외국인이다. 고급인력이 스위스에 한번 오면 떠나지 않은 이유는 스위스에 취리히·로잔 연방공과대학 등 세계 최고수준의 공대가 있고 구글, IBM 같은 미국계 IT 기업들은 리서치 센터를 운영하고 있어서만은 아니다. 무엇보다 글로벌 인재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 스위스의 개방성이 기여한 바 컸다.

스위스 유학생은 자국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적은 학비를 내고 대학을 다닐 수 있다. 스위스취리히연방공과대학의 경우 박사과정 면접을 위해 방문하는 전 세계 학생에게 항공료, 체제비까지 지원해준다. 건축학 석사를 마친 유학생 이진순씨는 “스위스는 학비를 지원받은 학생들이 현지에 취업하도록 하는 독일과 달리 취업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스위스는 국적과 관계없이 창의적 아이디어와 기술만 있으면 투자자를 연결 시키고 자금과 창업지원 프로그램까지 제공한다.

이처럼 우리나라와 달리 재능있는 인재가 머무른 덕에 스위스가 지금까지 배출해 낸 과학 관련 노벨상 수상자만 21명에 달하며세계경제포럼(WEF)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5년 연속 1위에 오를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우수 과학인력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것은 국내 연구환경이 열악하고 높은 급여와 복지혜택을 주는 양질의 일자리도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자율성과 독립성이 부족한 직장문화, 이공계 출신 차별 등의 사회분위기도 주효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나라가 스위스의 글로벌 혁신 마인드와 열린 생각을 벤처마킹 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낮은 법인세·고용유연성은 매력적인 투자요건 = 스위스는 유럽 비지니스 허브로 통한다. 물론 유럽 대륙 중앙에 위치해 있어 유럽연합(EU) 시장의 90%를 하루 안에 접근할 수 있다는 지리적 잇점이 컸다. 그러나 스위스는 처음부터 개방경제체제를 내세워 글로벌 인재 육성과 외국인·외국자본에 대한 자유경제체제 환경을 조성했다. 해외 기업이나 인재에 대한 규제와 차별 자체를 애초부터 차단한 것이다.

스위스 무역투자청 자료(2013년 11월 기준)에 따르면 지사, 연구소, 유럽지역 본사 등이 형태로 전 세계 1000여개 해외기업이 스위스에 진출해 있다. IBM, 맥도날드, 이베이, 닛산, GM, 코닥, 구글, 월마트, P&G, 디즈니, 쉘 등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글로벌 기업들이 유럽 본사로 스위스를 선택했다. 유럽에 진출한 미국기업의 60%가 스위스에 있을 정도다. 분야도 IT, 식품, 생활용품, 패션, 전자,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처럼 글로벌 기업들이 본사를 스위스에 두게 된 데에는 스위스의 기업투자 환경이 매력적이어서다. 스위스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법인세와 부가세가 다른 유럽국가(평균 15~30%)에 비해 8~10%로 낮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인력 고용과 해고가 자유로운 편이어서 고용유연성이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2011년 기준)에 따르면 스위스의 시간제 일자리 비중은 25.9%로 OECD 국가 전체 평균 16.5% 보다 훨씬 높다. 스위스가 세계경제포럼 국가경쟁력과 인적자본지수 1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에 따른 여성의 활발한 노동시장 진출 영향이 컸다.

스위스의 대표적인 글로벌 아웃도어 브랜드 ‘마무트(Mammut)’의 해럴드 쉬라이버 스포츠 그룹 매니저는 “스위스에서 시간제 일자리는 모든 업무 분야에서 보험, 복지, 휴가 제도 등에서 정규직과 동일한 혜택이 적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업무적으로 동등한 기회가 주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제 일자리 근무자도 원하는 포지션이 있다면 전일제와 동일한 조건으로 최대한 반영하기 때문에 정규직과의 갈등도 없다”고 덧붙였다.

스위스 현지에서 전자제품 유통업을 하고 있는 넥스토어 아게(nextor AG) 이승근 대표는 “스위스는 외국인 비중과 소득수준이 높다보니 하이퀄리티 제품들이 각축을 벌이는 유럽의 테스트베드 시장 역할을 하고 있다”며 “스위스에서 제품력이나 기술 등을 인증받으면 유럽시장 전체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제네바를 중심으로 세계보건기구(WHO), ILO(국제노동기구), UNHCR(유엔난민기구), ICRC(국제적십잦사), ITC(국제무역센터)등 세계 주요 국제기구가 많이 모여있다는 점도 텐트·발전기·차량·통신장비·IT·사무기기 등 공공조달시장에 해외기업을 끌어들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53,000
    • -0.54%
    • 이더리움
    • 5,280,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638,500
    • -1.16%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4,400
    • +0.99%
    • 에이다
    • 625
    • +0.16%
    • 이오스
    • 1,134
    • -0.53%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000
    • -0.92%
    • 체인링크
    • 25,570
    • +2.28%
    • 샌드박스
    • 606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