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결제 문자알림서비스 포인트 차감 논란

입력 2014-03-27 09: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카드사 부담” 무료서 입장 바꿔…포인트 없는 고객은 돈 지불해야

금융당국이 고객정보 유출 후속 조치로 카드 결제시 전송되는 문자메시지를 전면 의무화하기로 하는 대신 카드 포인트로 차감하는 방식을 택해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1억건이 넘는 고객 정보가 유출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 등 카드 3사는 2차 피해 등을 대비한 대책으로 카드를 이용할 때마다 결제내역을 알려주는 결제내역확인문자(SMS)서비스를 신청하는 사람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를 전 카드사로 확대해 전면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당국은 무료화 방침을 밝혔지만 카드사들의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포인트 결제 방식을 활용하는 것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SMS서비스는 부정사용 여부를 즉시 알 수 있고 전자금융사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SMS서비스를 완전 무료화하면 연간 1000억원가량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카드사들은 문자 한 건을 전송할 때마다 10원씩 통신사에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도 카드사들이 고객들의 포인트로 차감하는 방식을 써온 데다 포인트가 없는 고객은 돈을 내야 해 정보 유출에 따른 책임을 고객에게 전가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연간 3600원의 연회비를 추가로 받는 셈이다.

카드업계는 SMS 이용 요금 300~900원 가량 받다오다 우편요금 절약 차원에서 이메일 명세서를 신청하면 일정 기간 무료로 제공해왔다. 하지만 유료화로 전환했을 때 명세서에 돈이 빠져나가는 것을 본 고객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지난해부터 돈을 받는 대신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을 써왔다.

카드사 관계자는 “카드 결제가 늘면서 월 정액 300원으로도 적자가 나는 구조”라면서 “절대 수익을 남기는 사업이 아니며 서비스 유지에 따른 순수한 비용”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카드 이용자 역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한 카드사 고객은 “집에 도둑이 들어와 피해가 크니 집마다 디지털 도어록을 의무화하고 비용은 국민들이 내라는 것”이라면서 “카드사들이 비용만 따지고 근본적인 고객정보 유출 방지 대책을 세우는 데는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이연희, 결혼 4년만에 엄마 된다…"9월 출산 예정, 새 생명 축복해 달라"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4: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670,000
    • +0.35%
    • 이더리움
    • 5,286,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710,500
    • +2.82%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7,800
    • -0.96%
    • 에이다
    • 640
    • +0.47%
    • 이오스
    • 1,097
    • -0.63%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700
    • +1.03%
    • 체인링크
    • 24,110
    • -0.08%
    • 샌드박스
    • 652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