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집 사도 될까요] 집값 다 내려온걸까

입력 2013-11-0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취득세 감면ㆍ저금리 정책에 부동산 시장 ‘꿈틀’… “저점 찍었지만 급등은 역부족” 관측

회사원 박모(40)씨는 이달 초 경기도 죽전의 108㎡(33평형) 아파트를 팔고 서울 염창동으로 이사했다. 그는 2007년 10월 5억원에 샀던 죽전 아파트를 4억원에 팔면서 20% 가량 손해를 봤다. 그는 “대출금도 부담되고 회사 출퇴근도 힘들어 팔았다”면서도 “부동산 가격이 꿈틀댄다는 소식을 들을 때 후회스럽기도 하다. 안팔려서 몇년째 참고 살았는데 조금만 더 버텨볼걸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에선 집값 바닥 논쟁이 치열하다. 바닥론의 바탕엔 최근 미미하지만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격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거래량이 있다. 반면 더 떨어질수 있다는 주장의 근저에는 막대한 가계부채, 주택소유 인식 변화 등이 있다. 양쪽이 팽팽히 맞서고 있지만 집값이 이미 바닥을 치고 지나가고 있거나 최소한 근접했다는 있다는 의견은 비슷하다. 8.28부동산 대책 이후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늘고 가격이 오르는 등 모처럼 시장에 봄바람이 불고 있는 데다 주택가격전망지수 등 실제 지표도 상승곡선을 그리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최득세 영구인하 소급적용이 결정됨에 따라 주택시장 불확실성이 사라지면서 매수 심리도 다시 불붙을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일단 주택거래량이 크게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9월 주택 매매거래 건수는 총 5만6733건으로, 전년동기(3만9806건)보다 42.5%나 급증했다. 전월(4만6586건)에 비해서도 21.8% 증가했다.

수도권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97.1% 증가해 거래 회복세가 뚜렷했다. 정부가 취득세를 영구인하하기로 한데다 1%대 초저금리에 집값의 최대 70%를 빌려주는 모기지 상품을 내놓은 것도 매매심리를 자극했다는 분석이다.

가격 오름세도 심상치가 않다. 특히 전국 집값을 바로미터인 서울 강남권 아파트들이 상승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강남구 대치동 삼성1차 전용면적 84㎡는 8억2000만∼8억3000만원 선으로 한달새 1000만∼2000만원 뛰었다. 인근 H공인 관계자는 “취득세 감면 혜택에다 저금리정책까지 겹치면서 최근 들어 아파트 매입문의가 부쩍 많아졌다”며 “현재 시장은 바닥 다지기에 들어간 것 같다”고 말했다.

강북구 미아동 레미안트리베라1단지 전용 84㎡도 한 달 전보다 1500만∼2000만원 올라 8억2000만원 선을 호가한다. 미아동 뉴타운공인 관계자는 “가을철 전세수요 확산으로 전셋값이 10%가량 오르면서 중소형 위주로 매수문의가 늘고 있다”며 “부동산시장에 강력하게 형성됐던 냉기가 상당 부분 걷힌 상태”라고 전했다.

부동산 관련 지표도 호조세다. 지난 9월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올 들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착공물량도 크게 늘고 있다. 건설사들이 부동산시장 회복 기대감에 주택 공급을 늘리고 있다는 말이다.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심리지표도 상승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가계의 주택가격전망CSI는 113으로 전달에 비해 4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 1월부터 집계한 이후 최고 수준이다. 앞으로 집값이 저점을 찍고 상승 추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신규 분양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지난달 말 전국에 새로 문을 연 모델하우스에는 수만명의 인파가 몰리며 성황을 이루기도 했다. 위례신도시 등 미분양을 보유한 건설사들도 취득세 및 양도세 감면을 계기로 분양가 할인 등을 내걸고 본격 미분양 판촉에 들어갔다.

전문가들은 8.28전월세 대책발표일을 전후로 집값이 저점을 찍었다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특히 5∼6년 주기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부동산 경기 싸이클을 감안하면 대세상승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다만 막대한 가계부채와 과다한 수도권 택지지구 과다로 예전과 같은 집값 급등은 없을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박상언 유엔알 컨설팅 대표는 “바닥을 어디로 보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경기순환 흐름과 거래량 등을 볼 때 지금을 바닥 수준으로 볼 수 있다. 지금처럼 전셋값 상승이 이어지면 매매로 이어지는 수요도 적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과다한 가계부채와 주택 소유인식 변화가 집값 반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47,000
    • +0.62%
    • 이더리움
    • 5,128,000
    • +1.38%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0.41%
    • 리플
    • 692
    • -0.72%
    • 솔라나
    • 212,600
    • +3.2%
    • 에이다
    • 590
    • +0.68%
    • 이오스
    • 923
    • -1.49%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41
    • +2.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250
    • -0.64%
    • 체인링크
    • 21,400
    • +1.37%
    • 샌드박스
    • 541
    • -0.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