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기 사고]국토부 사고조사위, 미국 NTSB에 항의서한 보내

입력 2013-07-14 10: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보 과잉공개ㆍ브리핑 자료 사전 미공개 불만

국토교통부가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사고 조사와 관련해 과잉 정보공개 논란을 일으킨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에 항의서한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국토부에 따르면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전날 조태환 위원장 이름으로 NTSB 데버러 허스먼 위원장에게 2쪽 분량의 영문 서한을 팩스로 보냈다.

사고조사위는 서한에서 NTSB에 '사고조사 관련 정보를 충실하고 정기적으로 제공해달라'고 요청했다.

조사위는 이어 '사고조사는 국제 기준에 따라 객관적으로 공정하게 해야 한다'며 NTSB의 지나친 정보 공개에 우회적으로 문제 제기를 함으로써 불만을 드러냈다.

앞서 허스먼 NTSB 위원장은 사고 다음날인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닷새간 매일 언론 브리핑을 하면서 조종사들의 진술과 비행자료 기록장치(FDR), 조종실 음성 녹음장치(CVR) 분석 내용 등을 상세히 공개했으며 조종사의 원칙적 책임을 강조하는 발언을 여러 차례 했다.

이 때문에 사고 원인을 조종사 과실로 몰아가려 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세계 최대 조종사 노조인 민간항공조종사협회(ALPA)는 성명에서 NTSB가 이번 사고 조사 관련 정보를 너무 많이 성급하게 공개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최정호 국토부 항공정책실장도 지난 11일 브리핑에서 "정부는 사실에 입각해 발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종사의 진술이 사실인지는 확인해봐야 한다"면서 "진술을 공개하는 게 사고 원인을 밝히는데 바람직한지는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NTSB를 간접적으로 겨냥한 듯한 발언이었다.

한국과 미국은 날마다 브리핑에서 시차를 두고 차이를 드러냈다. 미국 측이 조종사 과실에 초점을 두는 듯한 발표를 하면 한국은 몇 시간 뒤에 "과실로 예단할 수 없다"고 반박하는 양상이었다.

우리 조사단은 또 NTSB에 일일 브리핑 자료를 사전에 공유해달라고 요청했으나 NTSB는 요점 몇 가지만 구두로 알려 불만이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고조사는 한국과 미국이 함께 하지만 주도권은 어디까지나 미국에 있다. 한국은 사고가 일어난 샌프란시스코와 NTSB 본부가 있는 워싱턴에 각각 6명과 2명을 파견했다. 워싱턴에 간 2명은 6개월 이상 걸리는 블랙박스 분석 작업을 본격적으로 하지만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조사관들은 며칠 안에 현장조사 보고서 작성이 끝나면 귀국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39,000
    • -2.58%
    • 이더리움
    • 4,895,000
    • -3.79%
    • 비트코인 캐시
    • 571,000
    • -6.55%
    • 리플
    • 703
    • +1.3%
    • 솔라나
    • 197,400
    • -6.22%
    • 에이다
    • 551
    • -6.45%
    • 이오스
    • 848
    • -8.72%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4
    • -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000
    • -7.28%
    • 체인링크
    • 19,810
    • -7.3%
    • 샌드박스
    • 472
    • -13.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