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硏 "국내 금융시장 외국인 단기 자금유출 충분히 감당"

입력 2013-07-07 13: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의 출구전략 가시화로 국제투자자금 흐름이 불안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금융시장은 외국인 자금의 대규모 유출에 따른 위기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주장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7일 '신흥국에 타격 클 미국 출구전략, 한국의 방어벽은 높은 편'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출구전략이 경기호전을 반영해 이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높아진 대외건전성을 바탕으로 대외충격에 대한 국내 금융시장의 내성이 증대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지난 5월 22일 양적완화 축소를 시사한 이후 한 달여 기간 동안 코스피의 하락 폭은 9.2%로,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지수의 하락 폭인 15.7%에 비해 신흥국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금리는 같은기간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0.8%포인트 상승해 신흥국의 중앙값(1.2%포인트)보다 낮고 선진국 중앙값(0.6%포인트)보다는 다소 높았다.

원화가치 하락 폭은 4.3%로 신흥국 통화 가치 하락폭의 중앙값(4.8%)보다 다소 낮았다. CDS프리미엄은 39bp(1bp=0.01%포인트) 올라 주요 선진국(14bp)보다 높았지만 주요 신흥국(73bp)보다 낮았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은 "버냉키 쇼크에 대한 금융시장 민감도는 과거에 비해 줄어든 모습"이라며 "미 출구전략이 미국 경기호전을 반영해 이뤄지는 것인데다 높아진 대외건전성을 바탕으로 대외 충격에 대한 내성이 증대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6월말 국내 외환보유액 3264억 달러로 대외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이고 경상수지 흑자로 유입되는 외화까지 감안하면 단기 유출 가능한 외국인 자금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미국 연준의 출구전략이 진행될 경우 그에 따른 충격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대비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등 각 경제주체의 재무건전성이 외인 투자 이탈을 가속시키는 빌미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외국인 자금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오히려 금리인상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으나 당분간 기준금리를 움직이기 어렵다면 미시적인 방법을 통한 채권시장 안정화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784,000
    • +1.53%
    • 이더리움
    • 5,319,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51,500
    • +1.01%
    • 리플
    • 724
    • +0%
    • 솔라나
    • 230,600
    • -0.43%
    • 에이다
    • 630
    • -0.32%
    • 이오스
    • 1,134
    • -0.09%
    • 트론
    • 159
    • -1.24%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50
    • +0.23%
    • 체인링크
    • 25,100
    • -2.79%
    • 샌드박스
    • 641
    • +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