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가 절전을 위해 마른 수건을 짜내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는 등 각 사별로 비상계획을 실시하고 있지만, 추가 절전대책이 요구될 정도로 전력상황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삼성전자, 포스코 등은 강도 높은 추가 절전대책안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실천에 나설 방침이다.
삼성은 그룹차원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S(Smart·Summer·Save)’운동을 실시한다. 3S운동은 생산현장 5%, 사무실과 가정은 각각 10%, 15%씩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6~9월에는 전 임직원과 가족이 참여하는 대대적인 절전 캠페인을 전개한다. 생산 이외에 지역 조명·공조 제어·비가동 설비 전원 차단, 노후설비를 저전력·고효율 설비로의 교체 등을 계획하고 있다. 삼성전기의 경우 일일 전력사용량 목표관리를 실시하고, 사업장과 사업부별로 에너지 절감 우선 순위를 분석하기로 했다.
LG전자는 고효율의 히트펌프로 냉장시스템을 가동하고 밝기가 조절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정보·기술(IT)시스템으로 제어하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휴일 근무를 실시할 예정이다. 전력 수요가 많은 평일을 피하기 위해서다. 대신 그에 맞는 일수를 평일 휴무로 지정해 운영한다.
한편, 산업계의 이 같은 노력에도 기업의 절전 방안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기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품 생산량을 줄일 수 밖에 없는 데 이는 경영상 손실을 감수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겨울 10% 강제 절전 대상이었던 현대차는 수출 물량을 맞추느라 전기 소비량을 1% 밖에 줄이지 못했다. 결국 현대차는 물량 수급을 맞추기 위해 절전보다는 과태료를 내는 방안을 선택한 셈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는 등의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철강업계는 추가 절전 대책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여기서 추가 절전을 하기 위해서는 사무실 등을 소등하는 등의 미시적인 대책으로는 어림도 없다”며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공장 가동을 중단할 경우 가뜩이나 불황을 겪고 있는 업황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전기로를 사용하는 업체의 고심은 깊다.
포스코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매년 전기 사용량의 70%를 자가발전으로 조달해 왔기 때문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상이 부담스럽긴 하지만 사회적 전력절감 요구에 맞춰 자가발전시설을 최대 가동해 자가발전 비율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