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르포] 휴대폰 보조금 규제에 용산 등 서울 주요 대리점 매출 '반토막'

입력 2013-05-03 08: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평일 퇴근 시간. 서울 용산 휴대폰 상가에는 오가는 손님을 셀수 있을만큼 한산하다.

"아무 대책없이 규제만 하면 어떻게 합니까"

손님이 좀있냐는 질문에 대리점 주인은 한숨만 내쉰다.

종로의 한 휴대폰 매장. 방은준 매니저(31)는 “지난달 말부터는 평소의 절반도 못판 것 같아요. 손님이 이렇게 뚝 떨어질 거라곤 생각도 못했어요”

서울 주요 지역 대리점들은 정부의 대대적인 휴대폰 불법보조금 영업규제이후 번호이동이나 신규가입 건수가 급감했다고 설명했다.

경쟁적으로 지급하던 휴대폰 보조금이 끊기자 휴대폰 값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방씨는 “갤럭시S3 32기가 모델의 경우 할부원금이 16만원 일때도 있었다”면서 “지금은 52만원 선인데 누가 사겠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방통위의 보조금 규제는 제조사에게도 직격탄이 됐다. 한국통신사업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16만8000건에 달했던 월별 번호이동 건수는 지난달 75만3000여건으로 35%가량 하락했다.

LG전자 ‘옵티머스G 프로’,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2’ 애플 ‘아이폰 5’ 등 쟁쟁한 모델들이 경쟁하던 시기였던 것을 감한하면 폭락 수준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조사는 일단 스마트폰 출고가를 낮췄다.

삼성전자는 지난 3일 ‘갤럭시노트2’ 출고가를 108만9000원에서 99만원으로, LG전자는 ‘옵티머스G’ 출고가를 99만9900원에서 84만7000원으로 낮췄다.

제조사는 '장려금'이라는 명목으로 변종 보조금도 지급했다. LG전자는 3월 초‘옵티머스G프로’에도 15만~20만원을, 삼성전자도‘갤럭시노트2’에 대당 10만원의 장려금을 지급했다.

통신사에서 지급하는 보조금까지 합치면 보조금은 40만원 가량 된다. 그럼에도 할부원금은 50만원대가 훌쩍 넘어가 고객들의 발길을 돌리게 하고 있다.

대리점들은 소위 '폐쇄몰'이라는 인터넷 카페를 개설하거나 텔레마케팅을 통해 불법 보조금을 지급, 스마트폰을 대량으로 판매하기도 했다. 폐쇄몰은 카페 쪽지 등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정보를 주고받으며 스마트폰을 판매한다.

이에 대해 용산의 한 통신업자는 "아무런 대책도 없이 보조금 지급만 막는 바람에 매출이 급감한 상황"이라며 "다른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13,000
    • +0.23%
    • 이더리움
    • 5,248,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0.54%
    • 리플
    • 723
    • +0.42%
    • 솔라나
    • 230,200
    • +0.35%
    • 에이다
    • 634
    • +0.63%
    • 이오스
    • 1,104
    • -2.82%
    • 트론
    • 159
    • +1.27%
    • 스텔라루멘
    • 146
    • -2.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12%
    • 체인링크
    • 24,560
    • -3.04%
    • 샌드박스
    • 626
    • -3.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