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올랑드시대]정책 전망과 과제

입력 2012-05-07 05:25 수정 2012-05-07 07: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성장·부자증세 경제정책 최우선…이민정책은 완화될 듯

프랑스 사회당 대선후보 프랑수아 올랑드가 6일(현지시간)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17년 만에 좌파 정권을 이룩하며 당선됐다.

그는 선거기간에 공약한 대로 성장 실현과 부자증세를 통한 사회 정의를 구현하는 경제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랑드 당선자는 경제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이번 대선에서 맞붙은 니콜라 사르코지 현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합작품인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국)의 ‘신재정협약’ 재협상에 나설 것이 확실시된다.

올랑드 당선자는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긴축만을 강조한 신재정협약으로는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없다며 성장 정책을 포함시켜야 된다는 논리를 펼쳤다.

신재정협약의 큰 틀은 유지하는 선에서 성장정책 조항만 포함시킨다는 계획이지만 성장 정책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유로존 위기 해소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유럽 재정위기가 또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있어 메르켈 총리를 비롯한 유로존 정상들의 고심이 크다는 설명이다.

올랑드는 청년층 일자리 15만개를 창출하고 중장년층 일자리도 50만개를 확보하는 등 당면 현안인 10%에 달하는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세제 측면에서는 연소득이 15만 유로 이상인 소득자에 대한 소득세율을 45%로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연 100만유로 이상의 고소득자에 대해서는 75%의 소득세율을 부과하고, 상속세율도 높이는 ‘부자증세’를 통해 재정적자 해소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기업 법인세 감면 혜택도 줄일 계획이다.

이민 정책은 사르코지 정권보다는 크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불법 체류자의 이민 신청을 사안별로 판단한다는 계획이며 프랑스 거주 외국인에 지방선거권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동성 결혼과 동성 커플의 입양을 허용하고 현재 75%에 이르는 원자력 에너지 의존도를 50%로 낮출 계획이다.

그는 3400여명의 아프가니스탄 주둔군을 사르코지보다 1년 앞선 올해 안으로 철수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올랑드 당선자가 추진할 정책들 가운데 부자증세안은 국내 부유층의 해외 탈출을 유도할 것으로 우려된다.

성장 위주의 정책은 재정적자를 확대시킬 수 있다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오랫동안 지속된 유럽 위기가 단기간에 끝날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어떤 정책을 펴더라도 프랑스 경제를 손쉽게 제자리에 돌려놓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없지 않다.

올랑드는 행정부 경험은 없지만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 시절 경제보좌관으로 일했을 정도로 조세와 경제문제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무엇보다 온건 합리주의자라는 점에서 6월 총선 이후에는 프랑스의 경제위기에 대한 또 다른 처방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트럼프 틱톡, 개설 사흘 만에 팔로워 500만…35만 바이든 캠프 압도
  • 현충일 ‘초여름 더위’ 지속…전국 곳곳 소나기 소식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14: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96,000
    • +2.14%
    • 이더리움
    • 5,241,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67,500
    • +3.97%
    • 리플
    • 727
    • +0.55%
    • 솔라나
    • 239,500
    • +3.86%
    • 에이다
    • 639
    • +0.31%
    • 이오스
    • 1,115
    • +1%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400
    • +3.01%
    • 체인링크
    • 24,770
    • +1.02%
    • 샌드박스
    • 641
    • +2.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