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재벌개혁·보편적 복지 전면 내세워

입력 2012-03-21 12:29 수정 2012-03-21 12: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민주통합당이 21일 재벌·검찰개혁, 미디어, 복지·노동·청년 정책 등 내용을 담은 ‘4·11총선 공약’을 확정, 발표했다.

◇ 경제 = 우선 민주당은 재벌개혁 일환으로 출자총액제한제도를 도입하고 순환출자를 금지하는 공약을 내놨다. 경제력 집중완화 정책으로 재계순위 10위권 대기업에 출자총액제한제도를 적용, 모든 계열사에 순자산 대비 출자총액 상한을 30%로 제한키로 했다. 당초 출자총액 상한을 40%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대부분의 재벌이 대상에서 제외돼 규제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30%로 낮췄다.

또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속하면 신규 순환출자를 금지하고 지주회사의 부채비율을 현행 200%에서 100%로 낮추기로 했다.

◇노동 = 노동부문과 관련해선 향후 5년간 33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공약을 발표했다. 매년 66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이런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17년까지 근로기간을 연 2000시간 이하로 단축해 137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300인 이상 민간 대기업과 공공부문에서 매년 3%의 청년 의무고용으로 31만7000개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현재 약 50%인 비정규직 비율도 2017년까지 20%대로 감축하고 최저임금을 전체 노동자 평균 임금의 50%로 현실화하기로 했다.

◇ 복지·취약계층 지원=‘3+3정책’(무상급식·무상보육·무상의료+반값등록금·주거복지·일자리복지)으로 대표되는 보편적 복지정책과 취약계층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초·중학생 무상급식 실시 △만 5세 이하 아동 보육비 지원 △반값등록금과 대학구조 개혁 △전월세 상한제 등을 제시했다. 이밖에 △기초노령연금 인상 △노인 틀니 건강보험 급여화 등 취약계층 지원책을 약속했다.

민주당은 이 같은 정책의 소요 재원으로 연평균 17조원, 일자리·주거복지와 취약계층 지원 비용으로 16조원을 잡았다. 33조원의 재원은 재정·복지·조세개혁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디어 공약도 내놨다. 언론의 정치적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낙하산 사장’을 원천 봉쇄하고 방송 지배구조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설치 △대검 중수부 폐지 △검찰총장의 국회 출석 의무화 등 검찰 개혁을 발표했다.

민주당은 이날 선대위 발족과 동시에 본격적인 총선 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22,000
    • +0.75%
    • 이더리움
    • 5,256,000
    • +0.06%
    • 비트코인 캐시
    • 663,500
    • +1.45%
    • 리플
    • 731
    • -0.27%
    • 솔라나
    • 238,100
    • +3.12%
    • 에이다
    • 635
    • -0.16%
    • 이오스
    • 1,110
    • -0.09%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50
    • +1.58%
    • 체인링크
    • 24,470
    • -0.57%
    • 샌드박스
    • 648
    • +2.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