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기업, 농업 살리기 한마음…지진 피해지에 첨단 농장 조성

입력 2012-01-05 15: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로봇·IT 기술 접목한 농장 설립…곡물·과일·야채 등 생산

일본 정부가 기업과 손잡고 농업 살리기에 팔을 걷어부쳤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동일본 대지진 피해 지역에 최첨단 기술을 접목시킨 대규모 농장을 만든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농림수산성은 후지쯔·히타치제작소·샤프 같은 대기업들과 제휴해 도쿄돔 50개 크기에 해당하는 200~250헥타 규모의 부지에 정보·기술(IT)과 로봇 등 첨단 기술을 접목시킨 농산물 산지를 만들 계획이다.

재해지 부흥은 물론 해외 시장 개방으로 타격이 우려되는 일본의 농업을 살리자는 취지다.

정부는 올해부터 6년에 걸쳐 미야기현의 나토리시, 이와누마시, 와타리마치, 야마모토초에서 쓰나미로 인해 염분 농도가 높아져 쓸모 없는 땅을 빌려 농장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우선 7억엔 가량이 투입될 예정이며, 6년간 정부가 40억~50억엔, 민간기업이 100억엔을 투입하는 등 총 150억엔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을 벌인다.

6년 후 부지 임대 계약이 끝나면 농산물 생산 단지로 특화할 계획이다.

첨단 농장 조성 계획에는 후지쯔·히타치제작소·샤프 외에 파나소닉 NEC, 아지노모토, 이토요카도 등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장에서는 쌀·보리·대두같은 곡물 외에 과일·야채를 재배한다.

재배에는 농작물과 농지의 수분 및 영양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센서 시스템과 수확한 농작물을 컨테이너에 싣는 로봇, 농약 대신에 발광다이오드(LED)를 활용한 병충해 방지 기술도 도입될 전망이다.

무인으로 농작물을 손질하는 트랙터도 도입할 계획이며, 1개의 농지에서 여러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경작지의 수위를 자동 조절하는 시스템도 도입된다. 자가 발전으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농작물의 광합성을 가속화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첨단 농장 조성이 실험에 머물지 않고 실제 농가의 생계를 도울 수 있도록 수익성도 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 정부는 농가가 생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을 도입해 수지를 따져 볼 셈이다. 농가의 수익률을 2배로 늘려 실험을 통해 얻은 성과는 전국 농가에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3현에서는 2만4000헥타의 농지가 지진과 쓰나미로 피해를 입어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앞서 농림수산성은 오는 2014년까지 농지에 쌓인 돌과 쓰레기, 염분 제거 작업을 끝내고 서둘러 농업이 재개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그 커피 어디 거예요?"…Z세대도 홀린 고현정·최화정의 라이프스타일 [솔드아웃]
  • “나는 행복합니다~” 외치지만…야구팬들이 항상 화나있는 이유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15,000
    • -0.72%
    • 이더리움
    • 5,222,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679,000
    • -4.43%
    • 리플
    • 705
    • -3.29%
    • 솔라나
    • 230,200
    • -3.56%
    • 에이다
    • 627
    • -2.18%
    • 이오스
    • 1,020
    • -7.1%
    • 트론
    • 160
    • +0.63%
    • 스텔라루멘
    • 141
    • -4.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800
    • -8.86%
    • 체인링크
    • 22,980
    • -5.24%
    • 샌드박스
    • 609
    • -6.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