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1조 유상증자… 어디에 쓰나? 해석 중구난방

입력 2011-11-04 10:15 수정 2011-11-04 11: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전자가 1조62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유상증자 계획을 3일 전격 발표했다.

LG전자는 조달자금 가운데 6385억5300만원을 시설자금으로 투입하고 나머지 4235억4700만원은 R&D투자 등 운영자금으로 집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주력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 재원을 안정적으로 선 확보하기 위해서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하지만 재계와 증권가에선 LG전자가 시총 3조원을 증발시키는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지금 유상증자를 한 것에 대해 의아해하고 있다. 과연 1조원이 넘는 돈을 어디에 쓸 것인 지에 대한 해석도 중구난방인 상황이다.

◇스마트폰 강화 혹은 신성장 투자 재원 마련?= LG전자의 위기는 사실상 휴대폰 사업 부진에서 시작됐다. 가장 시급한 것은 6분기 연속 적자 행진 중인 휴대폰 사업의 정상화다. 업계에서도 LG전자가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LTE(long term evolution)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 경쟁력 확보에 집중 투자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LG전자 고위 관계자도 “주력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증자를 결정했다”며 “특히 스마트폰 등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 회사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 먹거리로 정한 신사업을 위해 자금을 사용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LG는 태양광, 발광다이오드(LED), 수처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웨이퍼 등 ‘그린 신사업’을 위해 오는 2015년까지 8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문제는 스마트폰과 신성장 사업 모두 향후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이미 삼성, 애플, HTC 등과 격차가 너무 벌어졌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근원적인 기업문화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서는 과거 초콜릿폰과 같은 혁신 제품이 나오기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많다.

태양광 산업도 글로벌 수요 감소로 불황에 빠지면서 문을 닫는 업체들까지 생기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태양광 업계의 10월 현재 전체가동률 평균은 30%에 불과하다. 결국 대규모 유상증자로 이들 신사업에 투자한다면 밑빠진 독에 물 붙기라는 비난을 받을 수 있다.

◇장기적인 유동성 확보 차원 아닌가? = 투자부문이 명확하지 않다보니 유동성 확보용이라는 설명이 힘을 얻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3분기까지 총 3212억원에 이르는 누적 순손실을 기록했다. 스마트폰 사업이 올해에만 약 300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지분법 평가에 의해 반영된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의 순손실 영향도 컸다. 이들은 LG전자에 3분기에만 2600억원의 지분법 평가손실을 안겼다.

문제는 이들 계열사의 부진이 내년 이후까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누적 순손실이 늘어나면서 LG전자의 부채비율과 차입금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등 재무건전성은 악화됐다.

LG전자의 차입금은 3분기말 현재 8조5300억원으로 올초 7조1900억원과 비교해 무려 1조4000억원 가량이 늘어난 상태. 이에 따라 순차입금(차입금-현금)이 무려 5조7800억원으로 6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이 얘기는 차입금이 현금보유액보다 5조7800억원이 많다는 것.

또 1년내 해결해야 하는 부채가 16조8800억원으로 3분기새 1조5000억원이 늘어난 상태다. 즉 실적악화가 지속된다면 현금유동성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결국 언제 흑자로 돌아설 지 모르는 상황에서 선 자금확보를 통해 유동성 악화를 막자는 게 이번 유상증자의 이유였다는 분석이다. 국제신용평가 3사가 지난달부터 휴대폰 사업 부문의 경쟁력 약화를 이유로 LG전자의 신용등급과 등급 전망을 잇달아 내렸다. 그만큼 향후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조건이 불리해졌다.

한화증권 김운호 연구원은 “내년 자금확보 여건이 지금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에서 나온 판단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은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유상증자는 선재적인 재무재원 확보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을 것”이라며 “유증이 아니면 차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신용등급 강등 리스크를 피하기 위한 대응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03,000
    • +1.12%
    • 이더리움
    • 5,253,000
    • -1.05%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0.85%
    • 리플
    • 726
    • +0.55%
    • 솔라나
    • 230,500
    • +0.92%
    • 에이다
    • 641
    • +2.56%
    • 이오스
    • 1,121
    • +0.09%
    • 트론
    • 159
    • -1.85%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900
    • +1.06%
    • 체인링크
    • 24,590
    • -3.42%
    • 샌드박스
    • 635
    • +3.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