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사 ‘車보험’골머리

입력 2011-11-02 10:19 수정 2011-11-02 16: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반기 1000억 적자…전체 영업은 순이익 1조

“투자수익 반영해 차보혐료 인하하라니…”끙끙

손해보험사들이 상반기 자동차보험 사업에서 1000억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해 올해 자동차보험료를 내리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등 14개 손해보험사는 2011회계연도 상반기에 자동차보험에서 108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상반기 평균 73.4%로, 80%대 수준이었던 2010회계연도보다는 양호해 졌지만 여전히 적정손해율(71% 수준)을 2.4%포인트 초과하고 있다.

손보사들은 지난 2007회계연도에 손해율이 70.2%로 적정손해율보다 개선되자 2008년 하반기에 보험료를 내린 바 있다. 따라서 2011회계연도 손해율이 71% 이상을 기록하는 한 손보사들이 보험료 인하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보험은 지난 4월에 72억원 적자를 낸 뒤 5월에 9억원의 흑자를 보였으나 6월에 227억원 적자로 반전됐다. 특히 지난 7월에는 폭우로 인한 대규모 차량 침수로 563억원의 적자를 봤고 8월에도 230억원 적자였다. 2000회계연도 이후 누적 적자만 6조7332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고객들은 손보사들이 자동차보험 적자에도 불구하고 전체 영업에서 상당한 수익을 거두고 있다며 자보료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6개 대형손보사는 2011회계연도 상반기에 1조1천52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삼성화재가 4827억원, 동부화재가 2212억원, 현대해상이 2204억원, LIG손해보험이 1007억원, 메리츠화재가 916억원, 한화손해보험이 35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들 보험사는 전년 동기보다 70∼120% 정도 순이익이 늘었다.

손보사의 한 관계자는 “최근 자동차보험료를 내리라는 요구가 있지만 아직도 손해율이 적정수준을 웃돌고 있을 뿐 아니라 투자수익으로 발생한 이익을 자동차 보험료에 반영하는 것은 보험료 산정원리에 어긋난다”며 “현재는 투자 부문에서 수익이 나고 있을지 몰라도 향후 손실 발생했을 때메는 그 부담을 자동차 보험료에 반영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밀양 성폭행 가해자들 현재 상황…"난 숨겨달라"며 적극 제보 중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KFC, 오늘부터 가격 조정…징거세트 100원 인상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10: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99,000
    • +1.97%
    • 이더리움
    • 5,284,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661,000
    • +2.16%
    • 리플
    • 729
    • +0.83%
    • 솔라나
    • 237,600
    • +3.17%
    • 에이다
    • 641
    • +0.47%
    • 이오스
    • 1,120
    • +0.45%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8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300
    • +2.11%
    • 체인링크
    • 24,640
    • +0.65%
    • 샌드박스
    • 644
    • +2.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