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통화스와프, 560억달러 규모로 확대(종합)

입력 2011-10-26 1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은행이 중국인민은행과 원·위안 통화스와프 규모를 560억달러로 확대했다.

한은은 26일 원·위안 통화스와프 규모를 기존의 1800억위안/38조원에서 3600억위안/64조원으로 계약을 갱신했다고 밝혔다. 달러화로 환산하면 260억달러에서 560억달러 규모로 300억달러 가량 늘어났다.

이번 갱신계약의 유효기간은 이날부터 2014년 10월25일까지 3년이며 한은과 중국인민은행의 합의를 통해 연장 가능하다.

양국 중앙은행은 스와프통화의 준비통화로의 전환 가능성 및 그 규모에 대해서도 검토하기로 합의했다. 스와프통화의 준비통화로의 전환이란 국제 결제통화로서의 유동성이 떨어지는 위안화, 원화를 유로화나 달러화 등으로 바꿔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은 “중국과의 통화스왑 체결로 금융시장 안정과 양국 간의 교역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의미가 있다”며 “달러가 아닌 위안화, 원화 등 지역 통화를 통한 무역결제를 높여 교역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재천 한은 부총재보는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이 자본시장을 개방할 경우 통화스와프 자금을 이용해 중국 국채에 투자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무역교류 확대뿐 아니라 양국의 자본시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와프통화의 준비통화로의 전환에 대해서 김 부총재보는 “단기유동성 공급이란 목적을 위해서는 국제결제통화로 스와프하면 효과가 더 클 것이란 인식을 같이 했다”며 “세부적인 사항은 앞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이번에 체결한 통화스와프를 당장 인출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김 부총재보는 “무역결제를 뒷받침 해주는 목적도 있기 때문에 무역 촉진 위해서 적극적으로 자국 통화가 활용되면 인출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일본과 중국과의 통화스와프는 지난 9월 국제통화기금(IMF) 총회 때 김중수 한은 총재와 박재완 재정부 장관이 중국과 일본에게 타진했다. 중국과 일본 정부 역시 지역금융망 안정을 강화하겠다는 데 인식을 같이해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게 됐다고 이들은 설명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20일 일본과의 통화스와프 규모를 130억달러에서 700억달러로 확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전 불편한 전기차…그래도 10명 중 7명 "재구매한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신식 선수핑 기지?…공개된 푸바오 방사장 '충격'
  • 육군 훈련병 사망…완전군장 달리기시킨 중대장 신상 확산
  • 박병호, KT 떠난다 '방출 요구'…곧 웨이버 공시 요청할 듯
  • 북한 “정찰 위성 발사 실패”…일본 한때 대피령·미국 “발사 규탄”
  • 세계 6위 AI국 韓 ‘위태’...日에, 인력‧기반시설‧운영환경 뒤처져
  • 4연승으로 치고 올라온 LG, '뛰는 야구'로 SSG 김광현 맞상대 [프로야구 28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50,000
    • -1.86%
    • 이더리움
    • 5,297,000
    • -1.94%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4.84%
    • 리플
    • 731
    • -1.22%
    • 솔라나
    • 234,700
    • +0.09%
    • 에이다
    • 633
    • -2.01%
    • 이오스
    • 1,121
    • -3.86%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50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1.86%
    • 체인링크
    • 25,620
    • -0.31%
    • 샌드박스
    • 617
    • -2.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