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4개 작품 '2011 굿디자인' 선정

입력 2011-10-19 09: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1 굿디자인에 선정된 '다대2차 롯데캐슬 모델하우스' 외관
롯데건설은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한 '2011 굿 디자인(Good Design Award)'에서 부산 다대 롯데캐슬 모델하우스 외관 등 총 4개 작품이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굿 디자인으로 선정된 '부산 다대 롯데캐슬 블루' 모델하우스는 힘찬 바다의 물살과 해안의 파도, 바람과 대지를 형상화했다. 특히 모델하우스 앞 공간을 지역주민의 소통과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예술 작품들을 전시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이와 함께 롯데건설이 최근에 개발한 '스마트 도어폰', '스마트 트리'와 '캐슬 엘리베이터Ⅱ'도 굿 디자인으로 선정됐다.

'스마트 도어폰 & 락'은 문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폰과 도어락을 일체형으로 만든 것으로, 보안성 뿐만아니라 편의성과 다양한 기능, 디자인 요소까지 갖췄다. 특히 스마트 도어폰 & 락은 기존의 두터운 도어락과 달리 감각적인 슬림형 디자인을 적용해 두께가 5mm에 불과하며, 최신 스마트 폰에 적용되는 소재를 사용하여 고급스런 이미지를 강조했다.

'스마트 트리'는 최근 IT기술의 발전과 유연근무제 확산에 따른 최근 사회 트렌드를 반영한 옥외 시설로 태양광발전과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 기능에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소나무를 디자인 모티브로 감성적인 요소를 접목시켰다. 스마트 트리는 노트북 거치대를 갖추고, 디지털기기 충전과 전원 공급, 와이파이 서비스가 가능한 휴게시설물로 태양광 발전과 LED 조명을 갖춰 친환경적이고, 날씨와 온도, 시간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캐슬 엘리베이터Ⅱ'는 고급스러움을 상징하는 롯데캐슬의 이미지를 골드, 브론즈 색상의 마감재를 적용해 화사하면서도 모던한 느낌을 표현했다. 엘리베이터 천정은 공기살균 조명시스템을 도입하여 입주민들에게 웰빙환경을 제공하며, 우물형 천정과 간접조명이 어우러져 시각적으로 높아 보이는 공간을 연출하였다. 바닥은 붉은 계열의 대리석을 사용해 한층 더 고급스럽고 따뜻한 공간을 연출했다.

롯데건설 디자인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롯데캐슬 입주자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디자인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강원 인제 산불 사흘만 재발화…확산 가능성은?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3:1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615,000
    • +0.05%
    • 이더리움
    • 2,598,000
    • +0%
    • 비트코인 캐시
    • 519,500
    • -4.24%
    • 리플
    • 3,229
    • -2.03%
    • 솔라나
    • 212,700
    • +0.09%
    • 에이다
    • 1,010
    • -0.59%
    • 이오스
    • 990
    • +0%
    • 트론
    • 351
    • -1.68%
    • 스텔라루멘
    • 404
    • -0.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50
    • -4.12%
    • 체인링크
    • 21,130
    • -2.67%
    • 샌드박스
    • 424
    • -2.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