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 신규 글로벌 시장 개척 ‘파란불’

입력 2011-10-12 09: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카자흐 송전용 초고압, 파라과이 증용량 케이블 잇단 수주

LS전선이 카자흐스탄과 파라과이에서 중요 전력 프로젝트를 잇달아 수주했다. 이로써 남미와 독립국가연합(CIS) 등 신규 시장 진출에 파란불이 켜졌다.

LS전선은 카자흐스탄 국영전력기업 삼룩에너지(Samruk Energy)로부터 2400만 달러(한화 약 280억원), 파라과이 전력청(Administracion Nacional de Electricidad, ANDE)으로부터 910만달러(한화 약 100억원)규모의 전력 케이블 납품 사업을 각각 수주했다고 12일 밝혔다.

카자흐스탄 프로젝트는 수도 알마티(Almaty) 지역 산업 발달과 도시 개발로 인한 전력 수요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S전선은 내년 8월까지 127km의 송전용 220kV급 초고압 케이블과 접속재 등의 제품 공급 및 기술 자문 등을 진행한다.

또 파라과이 국가 기간 전력·통신망 구축을 위해 산 로렌소(San Lorenzo), 과람바레(Guarambare) 등에 총 1100km의 220kV급 증용량 송전 케이블(Gap Conductor)과 140km의 광섬유 복합가공지선(OPGW, Optical ground Wire) 납품과 설치 지원을 올해 말까지 수행한다.

LS전선 측은 이번 사업 수주에서 3M, 넥상스 등 세계 유수의 업체들과 경쟁, 2차에 걸친 철저한 평가를 통해, 타 기업들보다 우수한 기술력과 시공능력 등을 갖고 있음을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LS전선 관계자는 “독립국가연합과 남미에서 국내 전선 업체 최초로 수주에 성공, 높은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해당 시장에서 사업 진행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됐다”고 밝혔다.

◆용어설명

△증용량(增容量) 송전 케이블(Gap Conductor): 초내열(超內熱) 알루미늄 합금을 도체로 사용, 높은 전도율을 지닌다. 송전탑과 선로 추가 없이 기존 전선을 대체하는 것만으로 2배의 전력을 더 송전할 수 있어, 짧은 시간 안에 경제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광섬유 복합 가공 지선(OPGW, Optical ground wire): 송전선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고 송전선로 고장시 고장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기존 가공지선에 광섬유를 추가, 통신선의 기능을 더한 제품.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루 한 시간도 못 쉰다…우울한 워킹맘·대디의 현주소 [데이터클립]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여동생이 올린 글…판결문 공개 원치 않는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0: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061,000
    • -0.73%
    • 이더리움
    • 5,119,000
    • -1.31%
    • 비트코인 캐시
    • 653,000
    • -1.8%
    • 리플
    • 692
    • -1.14%
    • 솔라나
    • 222,400
    • -1.64%
    • 에이다
    • 613
    • -1.29%
    • 이오스
    • 986
    • -0.9%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6,100
    • -4.22%
    • 체인링크
    • 22,080
    • -2.95%
    • 샌드박스
    • 578
    • -2.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