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글로벌 경기 침체…2008년과는 다르다”

입력 2011-09-09 07: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7 경제, 하반기 회복 어려워…신흥국 경제 성장도 둔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8일(현지시간) 세계 경제가 침체에 근접하고 있으나 2008~2009년과 같은 위기에는 이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이날 발표한 주요 7개국(G7) 경제전망 중간평가 보고서를 통해 G7 회원국들의 경제가 지난 5월 전망보다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쉽게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선진국들의 경제침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해왔던 신흥국의 경제도 둔화하고 있다며 경기 둔화의 요인으로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의 영향이 예상보다 컸고 원자재 가격이 대폭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또한 불확실한 정책도 경기 둔화의 요인으로 꼽았다.

보고서는 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국가들이 하반기에도 약세를 지속하는 등 일본을 제외한 G7의 올 하반기 성장률이 평균 1%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당초 전망과 달리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0.4%와 1.0% 성장하는데 그쳤으며 하반기에도 저성장 기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미국의 3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2.9%에서 1.1%로, 4분기는 3.0%에서 0.4%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독일은 올해 1분기에 5.5%의 성장을 구가하다 2분기 0.5% 성장에 그쳤다. 보고서는 독일이 3분기에 2.6% 성장률을 보이겠지만 4분기에는 -1.4%로 후퇴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국은 3분기에 0.4%, 4분기에 0.3%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2분기 제로(0) 성장을 예상던 프랑스는 3·4분기 성장률이 0.9%와 0.4% 일 것으로 예측됐다.

1·2분기에 각각 -3.6%, -1.3%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일본은 3분기에는 대지진 재건에 힘입어 4.1% 성장하겠으나 4분기에는 제로 성장으로 주춤할 것이라고 OECD는 예상했다.

이에 따라 OECD는 회원국들에 기준금리를 더는 인상하지 말고 침체가 이어질 경우 금리인하를 고려하거나 자본시장에 대한 중앙은행의 개입을 권고했다.

보고서는 신흥국이 인플레 목표치가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통화정책 기조를 다소 완화할 필요가 있으며, 인플레가 높고 무역흑자가 증가할 경우 자국 통화의 평가절상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전 불편한 전기차…그래도 10명 중 7명 "재구매한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신식 선수핑 기지?…공개된 푸바오 방사장 '충격'
  • 육군 훈련병 사망…완전군장 달리기시킨 중대장 신상 확산
  • 박병호, KT 떠난다 '방출 요구'…곧 웨이버 공시 요청할 듯
  • 북한 “정찰 위성 발사 실패”…일본 한때 대피령·미국 “발사 규탄”
  • 세계 6위 AI국 韓 ‘위태’...日에, 인력‧기반시설‧운영환경 뒤처져
  • 4연승으로 치고 올라온 LG, '뛰는 야구'로 SSG 김광현 맞상대 [프로야구 28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59,000
    • -1.07%
    • 이더리움
    • 5,319,000
    • -1.12%
    • 비트코인 캐시
    • 652,000
    • -3.41%
    • 리플
    • 731
    • -0.95%
    • 솔라나
    • 236,400
    • +1.55%
    • 에이다
    • 635
    • -1.55%
    • 이오스
    • 1,126
    • -3.1%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50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50
    • -0.45%
    • 체인링크
    • 25,620
    • -0.85%
    • 샌드박스
    • 619
    • -2.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