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부채 2013년 30% 이내 관리

입력 2011-09-01 12:21 수정 2011-09-01 13: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년 재정지출 323~328조원 전망…올해 보다 최대 18조원 증가

정부가 국내총생산(GDP)대비 국가채무 비율을 2013년까지 30% 이내 수준으로 맞추기로 했다.

또 내년부터 재정지출 규모를 4~5% 늘려 잡기로 했다. 이는 2011~2015년까지 재정수입 연평균 증가 예상치인 7% 내외 수준보다 2% 가량 낮게 책정한 규모다.

이에 따라 내년 재정지출 규모는 323~328조원으로 올해 309조1000억원보다 13조~18조원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기획재정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1~201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방향을 보고했다고 1일 밝혔다.

‘2011~201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국가 채무 관리를 강화해 오는 2015년까지 30% 이내로 끌어내리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해 결산 및 재정수지 개선 등의 효과로 인해 국가부채가 오는 2013년까지 30%대 초반 수준으로 하락, 이후부터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했다.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국가부채 관리에 나선것은 대내외 경제 여건이 불안정하다는 판단에서다.

계획기간 동안 조세부담율은 점차 높아져 2015년에는 19% 중후반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확정 예산 기준 조세부담률은 19.3% 였다.

정부는 이와함께 내년 재정 지출 규모를 323~328조원으로 정했다. 재정수입은 예산 수입(230~236억원)과 기금수입(107~109억원)을 합쳐 337~34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7%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계획기간 중 재정지출 증가율을 연평균 4~5%대 수준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오는 2015년 재정지출 예상 규모는 368~373조원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5년 재정수입 전망 예상치인 403~413조원대비 2% 가량 낮은 수치다.

재정부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ㆍ재정여건을 감안할 경우 균형재정 시기를 앞당겨 재정건전성을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필요가 있다”며 “세입기반이 확충되고 지출생산성 제고, 재정관리체계 개선 등을 강화해 목표달성을 이뤄내겠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공공 “오른다 vs 민간 “내린다”…들쑥날쑥 아파트값 통계에 시장 혼란 가중 [도돌이표 통계 논란①]
  • ‘호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식품업계...가격인상 압박 눈치만
  • 애플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 내달 한국 출시
  • 사전청약 제도, 시행 3년 만에 폐지…공사원가 상승·부동산 경기 불황에 ‘정책 좌초’
  • 변우석·장기용·주우재 모아놓은 ‘권문수 컬렉션’…홍석천 보석함급? [해시태그]
  • 스승의날 고민 끝…2024 스승의날 문구·인사말 총정리
  • '살해 의대생' 신상도 싹 털렸다…부활한 '디지털 교도소', 우려 완전히 지웠나 [이슈크래커]
  • 금감원, 홍콩 ELS 분조위 결과...배상비율 30~65% 결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14: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147,000
    • +1.86%
    • 이더리움
    • 4,090,000
    • +0.94%
    • 비트코인 캐시
    • 608,000
    • +1.93%
    • 리플
    • 707
    • +2.32%
    • 솔라나
    • 206,200
    • +5.58%
    • 에이다
    • 610
    • +1.84%
    • 이오스
    • 1,099
    • +3.39%
    • 트론
    • 175
    • -1.69%
    • 스텔라루멘
    • 145
    • +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750
    • +2.39%
    • 체인링크
    • 18,730
    • +1.13%
    • 샌드박스
    • 579
    • +2.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