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강등 충격 완화하자”...주요국 총출동

입력 2011-08-08 09:41 수정 2011-08-08 1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7, 공조 확인...ECB, 국채매입 프로그램 재개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유럽중앙은행(ECB)은 7일(현지시간) 이례적으로 주말에 긴급 컨퍼런스콜을 개최하고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적극 실행할 것”이라며 이탈리아 국채도 매입할 것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ECB는 유로존의 양대 경제국인 독일과 프랑스가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는 상황에서 경제 규모가 세계에서 8위, 유로존에서는 3위인 이탈리아 국채를 유통시장에서 매입하는 문제를 놓고 내분을 빚어져 왔다.

그러나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속에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국채 수익률이 14년래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이들 국가의 자력 차입이 한계에 봉착할 위기에 처하자 비상이 걸린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지난주 유로존의 위기 악화를 저지하기 위한 개별 차원의 채권 매입이 이뤄졌지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해 결국 ECB가 개입키로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긴급 컨퍼런스콜을 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도 “환율의 과도한 변동 등에 적절히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는 내용의 긴급 성명을 발표했다.

노다 요시히코 일본 재무상은 이날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G7은 필요할 경우 유동성을 공급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중국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에 눈살만 찌푸리고 있다. 이번 사태를 초래한 미국의 재정 운영에 대한 비판을 서슴지 않는 한편, 미 국채 보유량을 줄여야한다는 회의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지난 5월말 현재 중국의 미 국채 보유량은 1조1598억달러로 외환보유고의 3분의1을 차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으로 거액의 손실을 입게 됐기 때문.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6일자 논평에서 “미국 최대 채권자로서 중국은 달러 자산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미국에 요구할 권리가 있다”며 국방비와 사회보장비를 삭감할 것을 촉구했다.

다만 대부분의 국가는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사태는 이미 예견된 일이었던 만큼 미 국채 보유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국 일본 러시아 영국 필리핀 인도 등은 미 국채 등급이 강등되더라도 투자처로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표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94,000
    • -0.75%
    • 이더리움
    • 5,266,000
    • +0.98%
    • 비트코인 캐시
    • 636,500
    • -1.62%
    • 리플
    • 725
    • +0.42%
    • 솔라나
    • 233,400
    • +0.65%
    • 에이다
    • 624
    • +0.32%
    • 이오스
    • 1,134
    • +1.25%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81%
    • 체인링크
    • 25,660
    • +3.01%
    • 샌드박스
    • 603
    • -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