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칩을 찾아서]세우테크, 미니프린터 강소기업…글로벌시장 거인으로

입력 2011-07-21 09:29 수정 2011-07-21 12: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세계 50개국 130개사를 고객으로…영수증 프린터 개발 시장변화 대응

세우테크는 창립 9년째를 맞는 미니프린터 전문기업이다. 지난 2002년 상거래용 영수증 및 주문서 전용 프린터인 포스프린터 개발을 시작으로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발 빠르게 대응해 관련 시장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

설립 초기부터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국내시장 보다는 해외 마케팅에 주력해 우수한 품질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에 당당히 도전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 유럽 및 미주시장을 중심으로 전 세계 50여 개국 130여개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88%인 수출중심 중소기업이다. 수출중심 마케팅전략 추진의 성과로 지난해 11월에는 2000만달러 수출탑을 수상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해외 시장과 함께 중국 및 남미, 아프리카 시장 등 신흥시장에 마케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미니프린터는 4인치 즉 100mm 이하 종이폭에 인쇄하는 특수 프린터의 일종이다. POS용 프린터, Label 프린터, Mobile 프린터, 프린터 매카니즘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제품 군에 따라 용도가 구분된다.

포스(POS) 프린터는 포스(POS) 시스템과 연동돼 영수증을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편의점, 백화점 등 유통업종과 식당, 레스토랑 등 서비스 업종에서 주로 사용있다. 최근에는 우체국과 같은 공공기관, 영화관, 놀이공원 등 영수증을 발급하는 모든 업종으로 사용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라벨(Label) 프린터는 물류센터 및 제조업체에서 바코드(Bar-Code)를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택배 사업부문에서 송장 작성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병원이나 약국까지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Mobile) 프린터는 포스 프린터와 라벨 프린터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프린터로 휴대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별도로 구분하고 있다. 모바일 프린터는 피자, 치킨과 같은 배달업종, 물류센터, 호텔과 같은 숙박 업종 등에서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세우테크 POS 프린터의 주력제품인 모델명 'LK-T210'. 기능이나 스팩 측면에서 POS 업계의 탑 클래스 제품이다.
프린터 매카니즘은 일종의 프린터 골격으로 신용카드 조회기, 은행의 ATM기, 주차시스템, 각종 티켓 발급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인쇄기능을 담당하는 모듈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 미니프린터 시장은 제2의 성장기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라벨프린터 및 모바일 프린터를 중심으로 정부차원의 공공기관 도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3년 전부터 영수증 발급 및 택배용 라벨을 출력하는 용도로 우정사업본부에서 도입을 시작했다. 특히 최근에는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재외공관은 물론 국내에서도 투표장소가 다양해짐에 따라 라벨 프린터를 이용해 즉석에서 투표용지를 인쇄하는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커졌다.

이런 새로운 시도가 본궤도에 진입한다면 국내 라벨 프린터의 시장과 기술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한편 모바일 프린터 역시 공공부문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무실이 아닌 외부에서 민원을 처리하는 업무가 많은 기관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자료 제출 및 보관 등의 목적으로 모바일 프린터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 최초 Rugged 디자인의 모바일 라벨 프린터인 'LK-P11'. 현재 가장 많이 판매되는 제품이다.
세우테크는 설립 이후 2008년을 제외하고 적자를 기록한 해가 없다. 설립이후 처음으로 당기손실을 기록한 2008년에도 매출 부진등 영업적인 요인보다는 통화옵션파생상품인 KIKO로 인한 손실로 영업외적인 요인에 의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설립 첫해인 2002년 45억원을 달성한 이후 2010년 285억 매출을 달성해 연평균 성장율은 26.1%를 기록하고 있다.

또 매년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도 원가경쟁력 확보를 통해 높은 이익을 실현하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2007년 24.8%, 2008년 22.6%, 2009년 18.6%, 2010년 20.4%로 연평균 20% 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적자를 기록한 2008년을 제외하고는 연평균 18% 수준의 당기순이익율을 유지하고 있다.

높은 이익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로 주요 원자재에 대한 구매 경쟁력과 수입 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력을 통해 제품원가를 크게 낮췄으며 이를 통해 주요 경쟁사들 대비 매출원가률이 약 10% 가까이 낮다는 점을 들고 있다.

세우테크는 올해를 지속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한 해로 판단하고 있다. 일부 코스닥 상장기업에서 증권시장에 상장한 이후 매출 및 이익이 감소하면서 시장에 신뢰를 잃었던 경우가 종종 발생했기 때문이다. 세우테크는 비상장 기업일 때 달성했던 실적 이상의 매출 및 이익율을 달성해 시장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전병운 대표는 “신뢰관계를 유지해 온 글로벌 전문 판매회사를 통한 영업망 및 A/S망 강화, 자체 브랜드 ‘SEWOO’의 브랜드 경쟁력 확보 등을 통해 미니프린트 시장을 선도는 최고 기업, 글로벌 톱 브랜드에 도전하는 ‘글로벌 톱 챌린저’로 도약할 것”이라는 강한 포부를 밝혔다.

또 “지속적으로 20%대의 영업이익률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합리적인 배당 정책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10,000
    • +0.03%
    • 이더리움
    • 5,201,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663,500
    • +0.53%
    • 리플
    • 699
    • +0.58%
    • 솔라나
    • 226,900
    • +0.71%
    • 에이다
    • 621
    • +1.47%
    • 이오스
    • 1,002
    • +1.62%
    • 트론
    • 164
    • +1.86%
    • 스텔라루멘
    • 140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300
    • +0.94%
    • 체인링크
    • 22,520
    • +0.58%
    • 샌드박스
    • 586
    • +0.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