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 출발부터 ‘삐그덕’

입력 2011-06-20 11:17 수정 2011-06-20 11: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영수회담이 시작부터 순탄치 않다.

지난 13일 손 대표가 민생 영수회담을 먼저 제안했을 때 이견 차가 큰 의제 설정이 문제였다면, 이젠 시기를 놓고 청와대와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19일 청와대가 개최 날짜를 29일로 제안하자 민주당은 “영수회담이 29일 열리면 5000억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반값 등록금 등 시급한 민생현안이 통과되기 힘들다”고 반발했다.

영수회담이 실질적 성과를 거두려면 금주 초·중반 쯤 열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민주당은 같은 날 청와대에 이런 입장을 역제안 했지만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민주당에서는 당장 “청와대가 우리를 무시한다”는 비판이 터져 나왔다.

한 중진의원은 기자와 통화에서 “만나긴 만나자는 건데 사실상 야당 의견은 아무것도 듣지 않겠다는 것 아니냐”며 “야당 대표를 폄훼하는 태도”라고 지적했다.

그는“청와대가 29일로 날짜를 고집하면 7월 국회를 열어서라도 민생법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중진의원은 “청와대가 사진 찍는 영수회담을 하자는 건데 이럴 거면 차라리 안 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영수회담에서 어떤 성과가 있어야 6월 국회 법안 통과나 7월 국회 개회나 뭐든 할 수 있는건데 지금으로선 만남을 위한 만남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반값 등록금, 한미 FTA, 저축은행 등 곳곳에 지뢰가 널려있는 의제 조율 과정이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이 대통령은 지난 17일 장차관 국정토론회에서 반값 등록금 문제에 대해 “어떻게 반값 등록금이 되느냐, 안 되는 줄 알면서…”라며 논의 가능성을 일축했다.

한미 FTA에 관해서는 22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의원들을 청와대로 초청, 조속 비준을 요청할 계획 일 정도로, 재재협상을 요구하는 민주당과 현격한 입장차를 보인다.

저축은행 사태는 ‘폭로전’ ‘전 정부 대 현 정부 책임론’으로 번진 지 오래다.

청와대에선 “일단 검토해보겠다” “좀 두고 보자”는 반응이나 “중요한 회담인 만큼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굳이 서두를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부정적인 기류도 흐르고 있다는 전언이다.

양측 모두 물러서지 않는 기싸움이 계속되면 지난 2월에 이어 영수회담이 재차 불발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되는 상황.

하지만 양측 모두 져야 할 정치적 부담 때문에 결국 절충점을 찾을 것이란 예측도 함께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79,000
    • -0.05%
    • 이더리움
    • 5,217,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666,000
    • -0.15%
    • 리플
    • 701
    • +0.57%
    • 솔라나
    • 227,800
    • +2.02%
    • 에이다
    • 624
    • +1.3%
    • 이오스
    • 998
    • +0.71%
    • 트론
    • 165
    • +1.85%
    • 스텔라루멘
    • 141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250
    • +1.2%
    • 체인링크
    • 22,920
    • +2.18%
    • 샌드박스
    • 593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