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남아공, 차기 IMF 총재 유럽독식 견제

입력 2011-05-23 07: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적에 따른 배정관행 종식...'능력 위주' 선임 촉구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22일(현지시간) 성범죄 혐의로 낙마한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의 후임을 놓고 벌이는 유럽과 신흥국 간 '기 싸움'에서 신흥국 대열에 합류했다.

주요 20개국(G20) IMF 개혁 실무그룹의 공동의장을 맡은 호주의 웨인 스완 재무장관과 남아공의 프라빈 고단 재무장관은 이날 공동성명에서 차기 IMF 총재는 국적에 따라 배정하는 관행을 종식하고 능력위주로 선임돼야 한다고 밝혔다.

IMF 총재는 유럽과 미국 사이의 오랜 묵계에 의해 미국인이 세계은행(WB) 총재를 맡는 대신 유럽인이 차지하는 것으로 내정됐다.

양국 장관은 "너무 오랫동안, IMF의 정통성이 총재를 국적에 따라 임명하는 관행 때문에 약화돼 왔다"고 지적하며 "제3의 시각으로도 신용과 신뢰성, 정통성을 유지하려면 공개적이고 투명한 선출절차가 진행돼 가장 유능한 인물을 국적에 상관없이 총재로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유럽권은 크리스틴 라가르드 프랑스 재무장관을 차기 IMF 총재로 미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반면 개발도상국과 신흥국은 단일후보를 내세우지 못한 채 여러 인사가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車·반도체·철강 점유율 추락…해외서 밀리는 한국 주력산업 [韓 제조업이 무너진다①]
  • ‘법정관리’ 엑시트 옵션 불과…제2, 제3의 홈플 나온다 [사모펀드의 늪]
  • 토트넘, PL 풀럼전서 0-2 패배…손흥민 평점은?
  • 증권가 "상법 개정안, 계열사 많은 'SK·삼성' 소송 위험 높여"
  • 서울보증보험, 코스피 데뷔 첫날 선방…IPO 시장 훈풍 기대감
  • 비트코인, 다시 약세 국면 진입하나…8만2000달러 선으로 하락 [Bit코인]
  • 中 무비자 시행에 넉 달간 여행객 급증…‘제2의 오사카’ 자리 꿰차나
  • '굿데이', 결국 입장 냈다…"김수현 출연분 최대한 편집" [전문]
  • 오늘의 상승종목

  • 03.17 11: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217,000
    • -0.88%
    • 이더리움
    • 2,801,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498,200
    • +0.63%
    • 리플
    • 3,439
    • -1.26%
    • 솔라나
    • 188,300
    • -4.85%
    • 에이다
    • 1,048
    • -2.96%
    • 이오스
    • 716
    • -2.45%
    • 트론
    • 313
    • -2.8%
    • 스텔라루멘
    • 397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870
    • +0.24%
    • 체인링크
    • 20,100
    • -0.89%
    • 샌드박스
    • 411
    • -0.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