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법원, 헤지펀드 내부 거래에 철퇴

입력 2011-05-12 10: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갤리언 설립자 라자라트남 유죄 판결...부당거래 규모 690억원

거대 헤지펀드의 내부자 거래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이 내려지면서 헤지펀드 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미국 헤지펀드 갤리언그룹의 설립자인 라즈 라자라트남이 내부자거래 관련 유죄 판결을 받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헤지펀드 갤리온 그룹 설립자인 라지 라자라트남이 11일(현지시간) 내부자거래 관련 14개 혐의 모두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 법정을 떠나고 있다.(WSJ)

뉴욕 맨해튼 연방법원은 이날 라자라트남이 혐의를 받고 있는 증권 사기 9건과 내부자거래 5건 등 총 14건에 대해 모두 유죄 확정 평결을 내렸다.

이는 월가와 미국 기업들을 향한 검찰 수사의 커다란 승리라고 신문은 전했다.

연방 검찰은 기업 내부 정보를 주식투자에 활용해 막대한 이익을 낸 라자라트남에 대한 법원의 평결에 대해 “주식 시장에서 불법적 이익을 추구해온 투자자들에게 강력한 억제책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미 법무부의 내부자거래 수사를 주도하고 있는 프리트 버라라 연방 검사는 평결 직후 성명을 통해 “자신이 법위에 있다고 믿거나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수사하고 기소하는 것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달간 진행된 재판에서 검찰은 라자라트남이 지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주식시장에서 부당 거래를 통해 6380만달러(약 690억원) 규모의 부당 이익을 취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변호인은 라자라트남이 공개된 정보를 이용해 투자했을 뿐이라고 반박해왔다.

2000년대 초 세계 10대 헤지펀드에 들었던 갤리언에서 라자라트남이 전성기인 2008년에 운용했던 투자자들의 돈은 70억달러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지난 2년간 광범위하고도 위험을 동반한 연방 당국의 수사가 월가 저변의 내부자 거래 문화를 완전히 바꿔 놓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헤지펀드 내부자 거래를 둘러싼 당국의 수사가 강화되고 부정적 여론도 확산되고 있지만, 투자자들은 엄청난 이익을 보장해 준다는 약속에 거액의 돈을 헤지펀드에 계속 투자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헤지펀드 업계의 지난달 투자 운용액은 사상 최고치인 2조달러를 돌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349,000
    • -0.64%
    • 이더리움
    • 3,049,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493,600
    • +0.59%
    • 리플
    • 3,596
    • -0.88%
    • 솔라나
    • 213,700
    • +1.33%
    • 에이다
    • 1,111
    • +2.87%
    • 이오스
    • 845
    • +0.36%
    • 트론
    • 335
    • -1.47%
    • 스텔라루멘
    • 430
    • +0.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800
    • +0.19%
    • 체인링크
    • 22,630
    • +1.62%
    • 샌드박스
    • 449
    • +1.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