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계대출 13% '이자 연체'…'소득 감소'가 원인

입력 2011-05-08 18: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저축률이 줄어들면서 부채를 상환할 여력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8일 내놓은 `2010년 가계금융조사(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부채에 대한 이자 지급을 연체한 사례가 있는 가구는 전체의 13.0%를 차지했다.

최근 6개월 기준은 조사가 실시된 지난해 11∼12월이다.

이자를 연체한 이유로는 소득감소(47.3%)가 가장 많았고 예상치 못한 지출 발생(24.5%), 자금융통 차질(15.2%) 등 순이었다.

또 최근 6개월간 부채원금을 상환하지 못한 적이 있는 가구는 전체의 10.3%로 조사됐다.

이유는 저축을 통한 상환자금 마련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응답(43.7%)이 반수 가까이 차지했다. 부동산 처분 등을 통한 상환자금 조달계획 차질(17.6%), 금융기관의 만기연장 불허(8.3%)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73.1%였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주 연령이 낮을수록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내 집 마련에 걸리는 기간은 10년 이내라는 응답이 30.1%로 가장 많았으며 5년 이내는 24.6%, 15년 이내는 8.5%, 20년 이내는 8.3%, 30년 이내는 1.6%였다.

가계 생활비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지출 항목은 식료품비(23.2%)가 꼽혔다.

사교육비(20.5%)가 근소한 차이로 두 번째를 차지했고 병원비(15.0%), 대출금 이자(13.7%), 학교 등록금(7.9%) 순으로 조사됐다.

가계 지출 가운데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가구주 연령이 30∼40대인 가구에서 특히 높았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비중이 가장 큰 가구 비율도 증가했다.

특히 소득 상위 20%에 속하는 5분위 계층은 15.2%가 사교육비로 월평균 100만원을 넘게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개월간 생활비가 1년 전보다 증가한 가구는 54.4%로, 감소한 가구(15.5%)보다 월등히 많았다.

가장 많이 늘어난 지출항목은 식료품비(30.4%), 사교육비(22.6%), 병원비(14.5%), 대출금 이자(9.8%), 학교 등록금(6.5%) 순이었다.

최근의 물가상승률에 대해서는 높다고 생각하는 가구가 93.5%로 지배적이었다.

가계의 가장 큰 경제적 애로사항은 물가상승(32.2%), 소득감소(20.9%), 경기침체(15.3%), 고용불안(9.6%), 부동산가격 상승(6.1%), 금리상승(4.9%) 등이었다.

이에 따라 한은과 정부가 기준금리나 정책을 결정할 때 먼저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이 한은, 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0년 가계금융조사(본조사)'에 대한 한은의 부가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전국 2009개 도시가구이고 조사기간은 지난해 11월 22일부터 12월 24일까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한덕수 탄핵소추 기각…“권한대행 탄핵 의결정족수 151석이 타당”
  • “인도 생각에 가슴이 뛴다”는 LG…법인명 바꾸고 IPO 초읽기
  • 최대 실적에도 목마른 오아시스, 그들이 원하는 건 ‘온라인 경쟁력’ [유승호의 유노우]
  • 韓 시장서 설 자리 잃었던 ‘수입차 대중화 모델’…올해 신차로 기회 노릴까
  • 4대 금융지주 이번 주 ‘주총 데이’…주주환원·내부통제 방점
  • [역차별에 흔들리는 韓-상] ICT 토종기업 발 묶인 사이 빅테크가 장악
  • "원하는 사람만 새 실손 전환"…보험계약 재매입 실효성 논란
  • 청년이 건넨 '지속가능발전' 배지…환경장관은 하루도 빠짐없이 찼다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921,000
    • +2.95%
    • 이더리움
    • 2,972,000
    • +0.44%
    • 비트코인 캐시
    • 485,000
    • +1.72%
    • 리플
    • 3,615
    • +2.55%
    • 솔라나
    • 204,300
    • +6.13%
    • 에이다
    • 1,065
    • +1.53%
    • 이오스
    • 834
    • +3.09%
    • 트론
    • 336
    • -4.55%
    • 스텔라루멘
    • 418
    • +1.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750
    • +0.4%
    • 체인링크
    • 21,680
    • +2.12%
    • 샌드박스
    • 430
    • +2.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