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YJ " 우린 단단해졌다" 소속사 분쟁 심경

입력 2011-04-05 08: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넘어야 할 산이 있지만 지금 우린 더 단단해지고 있다"

그룹 JYJ는 지난 3일 태국 방콕 임팩트 아레나에서 열린 '월드투어 콘서트 2011'에 앞서 국내 취재진과 간담회를 갖고 이와 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JYJ월드와이드 음반 '더 비기닝(The Beginning)' 발매, 아시아 및 미주 지역 월드와이드 쇼케이스,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공연, 이번 월드투어 콘서트까지 JYJ로 펼친 활동 전반에 대한 아쉬움과 성과를 털어놓았다.

김준수는 "월드와이드 음반을 내고 아시아를 넘어 미국에서 쇼케이스를 열었다는 점에서 뜻깊고 행복했다"며 "이 음반은 미국에서 정식 발매가 안 됐지만 빌보드 독자가 뽑은 '올해의 음반' 5위에 들어 더욱 의미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전 소속사와의 분쟁 이후 방송 출연의 제약을 의식한 듯 "이 음반의 성과를 빌보드 독자나 우리밖에 모른다는 점이 아쉽다"며 "카니예 웨스트와 로드니 저킨스 등 미국 유명 프로듀서들이 참여해 퀄리티 있고 자부심 있는 음반인데 한국에서 제대로 선보이지 못해 아쉬웠다. 넘어야 될 산이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월드투어는 김재중이 총 연출을 맡고 멤버들이 자작 신곡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팬들의 관심을 모았다. 멤버들은 김재중을 "김 감독, 김 연출"이라고 불렀다.

"첫 연출 도전이어서 설레고 긴장됐다"는 김재중은 "의상, 음향, 조명 하나까지 신경쓰려니 솔직히 힘들었다"며 "지금껏 스태프가 차려준 밥상에 숟가락을 얹었는데 이번엔 멤버들의 의상 원단까지 신경 썼다. 우리가 만들어나가려니 과정이 힘들었지만 우린 잘 해온 것 같다. 앞으로도 많은 과제들이 있겠지만 좀 더 힘들어도 괜찮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멤버들은 자신들이 연출한 무대에서 80%가량 자신들이 만든 곡으로 공연한다는 점에 큰 만족감을 드러냈다. 박유천은 "이제 콘서트를 할 만큼의 곡이 모여 뿌듯하다"며 "우리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어느 정도 할 수 있는 지 스스로에 대한 평가가 내려지는 공연이다. 이번 월드투어로 우린 한 발자국 더 성장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번 월드투어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월드와이드 음반 프로모션의 대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2: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71,000
    • -0.35%
    • 이더리움
    • 4,958,000
    • -1.04%
    • 비트코인 캐시
    • 550,000
    • +0.09%
    • 리플
    • 690
    • -0.58%
    • 솔라나
    • 187,900
    • -0.63%
    • 에이다
    • 545
    • -0.18%
    • 이오스
    • 816
    • +0.99%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3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850
    • +1.29%
    • 체인링크
    • 20,170
    • -0.4%
    • 샌드박스
    • 472
    • +3.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