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銀 민영화 궤도 수정하나

입력 2011-03-15 11: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만수 회장 취임계기 변화 바람 일어

정부가 추진해오던 ‘산업은행 민영화’ 전략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민영화의 핵심인 수신기반이 취약해 민영화를 강행할 경우 정부가 목표했던 IB(투자은행) 육성에 차질이 불가피해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산은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신기반이 약한 산은이 현 상태로 민영화한 후 IB부문에 진출을 하면 글로벌 IB은행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며 “민영화 추진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기 이후 ‘후순위’로 밀렸던 산은 민영화에 대한 관심이 강만수 회장 취임을 계기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은행 인수·합병(M&A) 실패와 인터넷은행 및 예금모집인 제도 도입 무산 등으로 수신기반 확충이 어려워지면서, 계획대로 민영화돼도 경쟁력이 없어 문제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산은의 총부채 중 수신기반 척도인 예수금 비중이 16.9%에 불과해 70% 안팎인 시중은행에 크게 못 미치고, 유동성 및 건전성과 반비례하는 예대율도 작년 6월말 기준 352%에 달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산은 민영화는 글로벌 수준의 IB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금융기관의 필요성에서 출발했다”며 “하지만 소매금융 기반이 없는 상황에서 민영화가 추진되면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M&A외에는 수신기반 확대는 어려운 상황이며 M&A 역시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산은 민영화 전략을 전반적으로 수정·검토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민영화 전략 수정 분위기는 산은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정책금융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산은 중심의 정책금융기관 통폐합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산은의 한 관계자는 “임직원 사이에서 정책금융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정책금융공사 등 4개 기관을 재편해 규모를 키우고 대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지난달 초 자본시장법 시행 2주년을 앞두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대형 투자은행 출현을 위해 산업·수출입은행·정책금융공사 등 공공 부문 기능재편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과 맥을 같이한다.

여기에 산은금융그룹 새 수장에 ‘메가뱅크론자’인 강만수 회장이 취임한 점도 산은 민영화 전략 수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미 여러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산은·우리금융과 산은·우리금융·IBK기업은행, 산은·KB금융, 산은·KB금융·우리금융 등의 결합 가능성이 그중의 일부다. 이 가운데 하나라도 실현된다면 자산규모 500조원 이상의 메가뱅크가 탄생한다.

그러나 금융사 간 M&A와 메가뱅크 출현이 쉬운 일은 아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금융사 대형화에 따른 신중론이 제기돼왔다. 하준경 한양대 교수는 “메가뱅크는 금융위기 전 전 세계의 거품이 한창일 때 나왔던 것으로 현재 국내 금융여건을 감안할 때 메가뱅크가 과연 필요한 것인가부터 논의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그 커피 어디 거예요?"…Z세대도 홀린 고현정·최화정의 라이프스타일 [솔드아웃]
  • “나는 행복합니다~” 외치지만…야구팬들이 항상 화나있는 이유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537,000
    • -0.81%
    • 이더리움
    • 5,195,000
    • -1.57%
    • 비트코인 캐시
    • 680,500
    • -0.87%
    • 리플
    • 701
    • -3.18%
    • 솔라나
    • 229,500
    • -3.04%
    • 에이다
    • 636
    • +0.16%
    • 이오스
    • 1,019
    • -6.51%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1
    • -4.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400
    • -5.67%
    • 체인링크
    • 23,020
    • -4.76%
    • 샌드박스
    • 614
    • -6.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