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카드 리볼빙' 칼빼든 이유는?

입력 2011-03-07 11:36 수정 2011-03-07 15: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말 현재 이용잔액 5조5000억원...부실 가능성 높아

금융감독원이 신용카드사의 리볼빙서비스에 주의를 해야 한다고 밝힌 지 일주일이 채 지나지도 않아 리볼빙서비스 리스크관리를 강화라는 카드를 뽑아 들었다.

금감원의 이같은 빠른 대응은 리볼빙 서비스의 이용액과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향후 신용카드사들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카드사들의 신종 먹거리사업으로 확장되면서 규모가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들에게는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지 못해 피해가 따르고 있는 이유에서다.

7일 금감원에 따르면 2010년말 현재 리볼빙 이용잔액은 2009년 5조1000억원 보다 7.8%(4000억원) 증가한 5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용회원도 지난해말 현재 273만명으로 전년 247만명 대비 10.5%나 증가했다.

리볼빙서비스는 리스크관리가 미흡할 경우 상대적으로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고객이 사용하는 서비스로 리볼빙서비스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경우 추후 누적 리볼빙 잔액이 일시에 부실화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리볼빙서비스는 일시적으로 상환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다”며 “하지만 경기침체로 가계소득이 줄면 돌려막기로 이어지면서 연체채권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또한 리볼빙 서비스는 ‘대부업체 금리’라는 말처럼 고금리가 적용돼 달콤한 유혹뒤에 독을 품고 있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이를 잘 몰라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리볼빙 개념을 모르고 사용하는 사람이 많이 있다”며 “카드 회사가 리볼빙 서비스가 고이자 상품이라는 걸 정확하게 고지하지 않아서 피해를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볼빙서비스가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이유는 카드사들의 부담도 적을 뿐더러 포화된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원으로 판단하고 시장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로서는 어느 정도 신용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상품이기 때문에 리스크가 적다”며 “또한 쉽게 영업할 수 있고 연체율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현금 서비스와 달리 미사용 한도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쌓을 필요도 없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전 불편한 전기차…그래도 10명 중 7명 "재구매한다" [데이터클립]
  • [종합] 나스닥, 엔비디아 질주에 사상 첫 1만7000선 돌파…다우 0.55%↓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나스닥 고공행진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밈코인은 게임스탑 질주에 '나 홀로 상승' [Bit코인]
  • '대남전단 식별' 재난문자 발송…한밤중 대피 문의 속출
  • ‘사람약’ 히트 브랜드 반려동물약으로…‘댕루사·댕사돌’ 눈길
  • '기후동행카드' 150만장 팔렸는데..."가격 산정 근거 마련하라"
  • '8주' 만에 돌아온 KIA 이의리, 선두권 수성에 열쇠 될까 [프로야구 29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15: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08,000
    • +0.59%
    • 이더리움
    • 5,331,000
    • -0.24%
    • 비트코인 캐시
    • 652,500
    • +0.54%
    • 리플
    • 732
    • +0.55%
    • 솔라나
    • 239,000
    • +3.69%
    • 에이다
    • 638
    • +1.11%
    • 이오스
    • 1,132
    • +1.71%
    • 트론
    • 153
    • +0%
    • 스텔라루멘
    • 152
    • +2.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300
    • +1.87%
    • 체인링크
    • 25,330
    • +1%
    • 샌드박스
    • 636
    • +3.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