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전기 사용 방식이 달라진다"

입력 2009-11-03 17: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硏, 미래의 전기소비자 유형 8가지 제시

지금까지의 전력시장에서 소비자의 역할은 제한적이었다. 대다수 소비자들은 거의 무의식적으로 전력을 받아 쓰고 생산자에게 요금을 냈다.

하지만 앞으로는 전기를 '쇼핑'하는 소비자가 등장할 것이라고 LG경제연구원 홍일선 선임연구원은 3일 '소비자의 전기 사용 방식이 달라진다'는 보고서에서 예견했다.

홍 연구원은 "사람들은 전기를 '국가가 저렴하게 제공하는 생활필수품'으로 여겼지만 전력 공급이 수요 증가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화석연료 중심의 전력 생산에 따른 환경 문제가 대두하면서 다양한 전기 소비 유형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기 소비를 효율화하기 위한 소비자 인센티브, 실시간 정보 공유, 실질적인 절감 기술 등은 사람들의 행동을 바꿔놓기 시작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데 참여하는 소비자도 늘어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전기 소비자 유형 8가지를 예상했다.

우선, 소비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소비자 유형이다. 여기에는 제품별 전력 사용량을 스마트 미터기로 확인해 고효율 제품으로 바꾸거나 플러그를 뽑는 '회계감사형'과 전력 사용 모범사례를 따르는 '벤치마킹형'이 있다.

소비 포트폴리오를 바꿔 다양한 혜택을 노리는 유형도 있다. '타이머형'은 전기 요금이 시간대별로 부과되거나 절감분에 대한 성과금이 주어질 경우 주요 가전제품의 사용 시간대를 바꾼다. '패키지 선택형'은 전기 사용 방식을 스스로 선택해 요금을 아껴주는 지능형 가전제품을 구매한다.

'시장 참여형'이나 '차익거래형' 소비자도 등장할 것이다. 이들은 단순 소비자가 아니라 전력 절감분만큼의 사용 권한을 팔거나, 한 걸음 더 나아가 차량용 배터리 등 저장장치에 전기를 모아 뒀다가 전력 수요가 몰릴 때 시세 차익을 노리는 일종의 '투자자'다.

이 밖에 직접 친환경 방식으로 전력을 생산해 사용하거나, 자신이 사용하는 전력의 '원산지'를 확인해 친환경 방식으로 만들어진 전력을 골라 쓰는 유형도 나타날 것이라고 홍 연구원은 예상했다.

홍 연구원은 "소비자의 행동 변화가 반드시 에너지 절감 및 최대 수요를 효율화시키는 방향으로만 나타나지는 않을 수 있다"면서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이익이 공공의 이익과 직결될 수 있는 세심한 정책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79,000
    • +0.7%
    • 이더리움
    • 5,316,000
    • +1.14%
    • 비트코인 캐시
    • 673,500
    • +2.75%
    • 리플
    • 728
    • +0.28%
    • 솔라나
    • 239,100
    • +2.27%
    • 에이다
    • 638
    • -0.31%
    • 이오스
    • 1,115
    • +0.09%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8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250
    • +2.38%
    • 체인링크
    • 24,600
    • +0.65%
    • 샌드박스
    • 653
    • +2.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