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 간 30조 원 이상 투자 필요
오픈소스AI 생태계 구축 중요성 강조
거버넌스 위해 국가AI정책연구소 설립도
하정우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공동대표는 30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AI 정책 미디어데이'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는 6월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차기 정권의 AI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하정우 공동대표는 'AI 컴퓨팅 파운데이션(AICF)'을 구축해 AI 인프라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CF는 GPU와 NPU를 포함한 AI 가속기 인프라를 국가 단위로 통합 구축해 연구개발과 산업 확산을 동시에 지원하는 기반 체계다. AICF 체계를 2030년까지 50만 장 규모로 조성하고 스타트업과 학계 등에서도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민간 연합 형태의 운영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과실연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향후 5년 간 공공·민간·해외투자를 통해 30조 원 이상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메타(130만장) △MS(180만장) △xAI(100만장) 등 글로벌 기업들의 AI 반도체 확보 목표와 AI 주요국인 △영국(40조 원) △유럽연합(EU)(30조 원) △일본(90조 원)의 투자 규모를 고려해 추산한 규모다.
하정우 대표는 오픈소스AI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메타와 딥시크를 중심으로 한 오픈소스AI의 미중전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 R&D 평가에 오픈소스 기여도를 반영하고 범용인공지능(AGI)을 목표로 한 국제 공동 프로젝트도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국가 AI 정책 연구소'(NAPI)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NAPI는 정부과 학계,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연구소다. AI 국가 전략과 관련 법률, 사회적 영향력 분석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대통령실 내 AI정책수석 또는 AI정책 총괄기구를 신설해 AI 관련 현안을 일괄 조정해야 한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AI의 안보 중요성을 위한 정책도 제안됐다. 과실연은 국방 전용 AI 컴퓨팅 인프라와 클라우드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기업과 연구소, 대학, 국방 조직이 데이터와 기술을 공동 연구·개발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기반의 국방 경쟁력을 위해서는 국가안보실 산하에 '국방 AI 전략본부'를 만들고 국방 AI 협력체계와 동맹 강화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 나왔다.
과실연은 새 정부가 집권과 동시에 'K-AI 액션 플랜'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EU, 영국 등 AI 주요국들이 AI 패권을 확보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는 만큼 우리 새 정부가 이미 뒤처진 상황에서 지체할 시간이 없다는 설명이다. 하 대표는 "우리나라의 경우 인수위원회 없이 새 정부가 바로 시작되는 만큼 동시에 K-AI 액션 플랜을 구축하고 바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