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증시 폭락에도 트럼프 美 대통령 중국에 ‘추가 관세’ 엄포
백악관 인사 발언 와전돼 ‘관세 90일 유예’ 가짜 뉴스 해프닝도
“장기적 관점에선 ‘공포 매수’ 수익률 높아…투자 기회일 수도”
관세 전쟁 발 ‘검은월요일(블랙먼데이)’가 가상자산 시장과 아시아 증시를 뒤흔들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추가 관세’ 엄포를 놓으며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국내 분석가들은 변동성이 극심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거시경제 모니터링’, ‘저가 매수’ 등 다양한 방법을 조언한다.
8일 가상자산 시황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BTC) 가격은 7만9395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5개월 만에 7만5000달러 선이 무너진 뒤 6%대 반등에 성공한 모습이다. 이더리움(ETH) 역시 9.81% 상승하며 다시 1500달러 선을 회복했다.
전날 가상자산 시장은 미국발 관세 전쟁 우려에 ‘블랙먼데이’를 겪으며 비트코인 등 대부분의 시가총액 상위권 자산이 두 자릿수 대 급락을 보였다. 아시아 증시 역시 코스피 마이너스(-)5.57%, 코스닥 –5.25%을 비롯해 대만 가권 지수(-9.70%), 일본 닛케이225(-7.83%), 중국 상해 종합지수(-7.34%) 등이 일제히 폭락했다.

관련 뉴스
글로벌 증시가 관세 전쟁으로 인해 폭락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중국이 “8일까지 보복관세(34%)를 철회하지 않으면 50%의 추가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엄포까지 놓은 상황이다.
전 세계가 트럼프 대통령과 정부 주요 인사들의 입에 집중하면서 ‘가짜 뉴스’ 소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7일(현지시간)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이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관세 90일 유예’에 대한 질문에 “이는 대통령이 정할 것”이라고 답변했는데, 시장이 이를 ‘검토 중’으로 받아들이면서다. 장중 나스닥이 한때 4% 급등했고, 비트코인 역시 40여 분 만에 5000달러 가까이 가격이 오르기도 했다.
다만, 백악관이 이를 ‘가짜 뉴스’라고 확인하며 S&P500지수는 10분 만에 230p(포인트) 하락했고, 비트코인도 2000달러 이상 급락하며 8만 달러선 다시 깨졌다.
변동성 심화에 국내 분석가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상승장 종료 여부에 대한 이견이 있는 상황이다.
김민승 코빗리서치 센터장은 “최근 가상자산 가격 하락으로 ‘상승장 종료’와 ‘4년 사이클이 사라졌다’ 등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면서 “최근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은 트럼프의 관세전쟁과 이와 관련된 미국 경기침체와 관련된 불확실성에 기인한 것이며, 어제 급락은 세계 각국 증시와 함께 패닉셀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거시 경제의 가상자산 시장 영향력이 커진 만큼, 매크로 요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길 조언했다. 그는 “특정 자산 차트만 보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관세 전쟁, 연준의 대응 및 금리 인하 계획, 달러 가치 등이 포함된다”고 했다.
장경필 쟁글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하락이 장기적 관점에서는 투자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비트코인,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은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사람들이 공포를 느끼는 순간에 매수한 경우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률이 높은 편”이라면서 “이번 관세 전쟁 또한 불확실성을 동반한 시장 출렁임이라면, 1년 이상 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투자자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장 센터장은 9일 관세부과로 인한 시장 영향은 이미 가격에 일부 반영됐다고 봤으나, 미중 갈등 추이에 따라 추가 하락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중국 및 우방국과의 협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다만, 지금까지의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과정을 돌이켜보았을 때 납득 가능한 수준에서 얻을 것을 얻고, 갈등을 종료시킬 가능성도 있다”면서 “이 경우 시장이 반등을 시작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기관투자자의 가상자산 시장, 특히 비트코인 매매 비중이 높아지면서 나스닥 등 위험자산과 동조하는 경향이 최근 강해지고 있고, 전날 하락은 이를 반영한 것”이라면서 “시장 추세 반전을 위해서는 유동성이 부족한 만큼 결국 금리 인하를 동반한 양적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