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시대에 부상하는 ‘인도·인도네시아’…젊은 인구로 시장 승부수

입력 2024-05-27 15: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40년까지 최소 10% 인구 증가
노동 인구 증가, 기업과 투자자 신뢰 향상으로 이어져
연금 등 국가 재정 지출↓ㆍ 투자 매력↑

▲상단부터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G7의 인구 증가 전망률. 인도와 인도네시아는 2050년까지 늘어나는 반면 중국은 감소세다.  단위 (%). 출처 블룸버그
▲상단부터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G7의 인구 증가 전망률. 인도와 인도네시아는 2050년까지 늘어나는 반면 중국은 감소세다. 단위 (%). 출처 블룸버그

세계가 저출생·고령화 등으로 경제 위기에 직면했지만, 인도와 인도네시아 시장에는 장밋빛 미래가 그려지고 있다. 두 국가의 안정적인 인구 덕분이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신흥 아시아 시장에서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탄탄한 인구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라고 전했다.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지역의 다른 국가들은 급속한 고령화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인도의 인구는 약 14억4800만 명으로 지난해 중국을 제치고 ‘세계 인구 1위’ 국가로 부상했다. 세계 인구 약 81억1884만 명의 약 4분의 1이다.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인구를 강점으로 주요 경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게 블룸버그의 진단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한 국가의 노동 인구 증가와 기업 가치는 긍정적인 관계”라며 두 국가의 경제 호황을 예상했다. 피델리티인터내셔널은 “인구 증가가 기업과 투자자의 신용도를 높여 신흥 투자 시장의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은행(WB)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와 인도네시아는 2040년까지 올해보다 최소 10%의 인구 증가가 예상된다. 반면 중국은 4% 가까이 줄어든다. 무엇보다 중국은 수년간 고령화를 겪으며 노동 인구가 줄어들고 있지만, 인도는 주요 경제국 중 가장 젊은 국가다.

▲상단부터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G7의 인구 부양비. 부양 인구는 15세부터 64세까지 생산 연령 인구다. 단위 (%).  출처 블룸버그
▲상단부터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G7의 인구 부양비. 부양 인구는 15세부터 64세까지 생산 연령 인구다. 단위 (%). 출처 블룸버그

피델리티인터내셔널의 이안 샘슨 펀드 매니저는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노동력은 젊고, 다른 거대 경제국보다 인구배당 효과가 높다”며 “이는 신흥 시장의 GDP 성장률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배당 효과는 전체 인구 중 생산가능인구 비율이 높아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효과다.

두 국가의 역동적인 인구가 주식 시장에도 호재로 작용한다는 ‘낙관론’이 나온다. 현재 인도의 니프티50 지수는 9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종합지수는 지난 3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거를 앞둔 두 나라가 규제를 줄여 고용 시장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외국인 투자를 촉진한다면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샘슨은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구조 개혁은 일자리를 창출할 가능성이 커 인구배당 효과를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인도는 연간 8%의 경제 성장률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펀드들은 지수 편입 전망에 따라 인도 국채에 55억 달러 (약 7조5000억 원)를 투자했다. 앞서 2월에 발표된 임시 예산에서 인도의 재정 지출이 줄어든 것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홍콩상하이은행(HSBC)의 산제이 사 이사는“고령화는 의료 및 연금 비용을 증가시키고 더 많은 사회적 혜택이 필요하게 된다”며 “신흥국들은 연금 등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45,000
    • -0.61%
    • 이더리움
    • 4,983,000
    • -2.26%
    • 비트코인 캐시
    • 600,000
    • -0.74%
    • 리플
    • 723
    • +4.33%
    • 솔라나
    • 204,700
    • -2.8%
    • 에이다
    • 582
    • -0.85%
    • 이오스
    • 891
    • -3.47%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950
    • -1.36%
    • 체인링크
    • 20,730
    • -3.13%
    • 샌드박스
    • 495
    • -8.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