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인사이트] AI 랠리 기대 속 물가 지표 주목

입력 2024-05-27 08: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5-27 08:3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연준 중시 PCE 지표 발표
개인 소비 둔화는 불안 요소
금리 인하 경로 전망 분분

▲4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4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이번 주(5월 27일~21일) 뉴욕증시는 인공지능(AI) 랠리 지속에 대한 기대감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물가지표 추이에 주목하면서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주식시장은 지난주 AI를 중심으로 한 기술주가 재차 강세를 보이면서 ‘AI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한 주간 1.4%나 뛰면서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특히 생성형 AI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내놓으면서 투자 심리를 끌어올렸다.

투자자들은 AI 랠리 재개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PCE 가격지수 발표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는 올해 1분기까지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돼 왔지만 지난달 들어 다소 완화됐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전달 대비 0.3% 상승하면서 올해 들어 처음으로 상승률이 둔화했다.

이번 주 발표되는 PCE 지표가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하거나 그보다 밑돈다면 주식시장은 힘을 받을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월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을 전달 대비 0.2%로 예상했다. 이는 직전달 수치인 0.3% 상승률과 비교했을 때 소폭 둔화한 것이다. 4월 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상승할 것으로 점쳤다. 헤드라인 PCE 가격지수 상승률 전망치는 전달 대비 0.3%, 전년 동기 대비 2.7%로 제시했다.

다만 PCE 보고서에 포함된 개인소비지출 지표가 불안 요소로 꼽힌다. 미국 실물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미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던 소비가 위축되는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WSJ은 PCE 보고서 4월 개인소비지출(PCE)이 전월(0.8% 증가)의 절반 수준인 0.4%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 주요 인사들의 발언과 경기 평가 보고서 ‘베이지북’도 투자자들의 주요 관심사다. 이번 주에는 연준의 삼인자로 꼽히는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리사 쿡 연준 이사 등이 발언을 내놓는다. 연준 위원들은 조만간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통화 정책과 관련된 발언을 삼가는 ‘블랙아웃’기간에 들어가야 하므로 이번 발언에 대한 주목도는 더 높다.

올해 연준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한 전망은 분분한 상황이다. 연준 인사들은 기준금리 인하와 관련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올해 연준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제로 금리 인하론’을 펼쳤다. 시장에서는 올해 단 한 번의 금리 인하가 있을 가능성이나 연준이 연말 들어서야 금리를 낮출 가능성 등을 살펴보고 있다.

이 밖에 주요 일정으로는 △ 27일 ‘메모리얼 데이’ 금융시장 휴장 △ 28일 3월 S&P/케이스-실러·연방주택금융청(FHFA) 주택가격지수, 5월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5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제조업지수,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행사 참석, 메리 데일리 샌프란 연은 총재 토론 참석,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토론 참석 △29일 연준 베이지북, 5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 세일즈포스 실적 발표 △30일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수정치,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 수, 1분기 기업이익 예비치, 4월 잠정주택판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뉴욕경제클럽 행사 참석,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연설, 코스트코·베스트바이·달러 제너럴 실적 발표 △ 31일 4월 개인소비지출(PCE) 및 개인소득, 5월 시카고 연은 구매자관리지수(PMI) 등이 예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910,000
    • -2.53%
    • 이더리움
    • 4,926,000
    • -3.01%
    • 비트코인 캐시
    • 586,000
    • -4.09%
    • 리플
    • 727
    • +4.6%
    • 솔라나
    • 200,100
    • -4.4%
    • 에이다
    • 565
    • -4.07%
    • 이오스
    • 875
    • -5.91%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4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300
    • -4.13%
    • 체인링크
    • 20,160
    • -5.88%
    • 샌드박스
    • 488
    • -1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