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전망] 코스피 2670~2800 전망…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 주목

입력 2024-05-25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워싱턴/AP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워싱턴/AP연합뉴스)

다음 주(27~31일) 국내 증시는 미국 기업들의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확인, 한국 수출 호조 기대감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예정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불안 요인이다. NH투자증권은 주간 코스피 예상 밴드를 2670~2800포인트(p)로 제시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주(20~24일) 코스피 지수는 한 주 동안 37.02(1.36%) 내린 2687.60에 마감했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조4915억 원, 1819억 원 순매수했지만, 기관은 1조6623억 원 순매도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주보다 15.65(1.83%) 하락한 839.41에 마감했다.

미 국채금리가 연준 위원들의 금리 인하 신중론에 반등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주식시장은 횡보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도 금리 인하에 추가 증거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크리스토퍼 왈러 연준 이사 올해 연말 정도에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도 다수의 위원이 현재 수준의 금리가 적절하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둔화한 이후에도 연준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은 잦아들지 않아 물가 지표의 안정 흐름이 수개월간 연속적으로 확인될 필요가 있다.

믿을 건 기업의 실적 성장이다. 매크로 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 중인 가운데, 미국 빅테크와 한국 반도체를 중심으로 기업 실적은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엔비디아 실적이 기대치를 충족해 반도체 기업을 향한 기대감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23일(현지시각) 엔비디아는 올해 2~4월 매출이 260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72억 달러)보다 261% 늘었다. 이에 실적 성장이 확인되는 업종이나 기업으로의 쏠림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이번 주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SK하이닉스(6853억 원), 현대차(3021억 원), HD현대일렉트릭(1600억 원), 기아(938억 원) 등을 가장 많이 순매수했다.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이벤트로는 △27일 미국 메모리얼데이 휴장 △28일 미국 3월 S&P △28일 CS주택가격지수 △28일 미국 5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30일 미국 연준 베이지북 공개 △30일 미국 1분기 GDP(수정치) △31일 한국 4월 산업활동동향 △31일 중국 5월 국가통계국 PMI △31일 유로존 5월 소비자물가(잠정치) △31일 미국 4월 PCE 물가 △6월 1일 한국 5월 수출입 동향 등이 있다.

주요 미국 기업들의 실적 발표는 △29일 세일즈포스 △30일 코스트코 △30일 델 등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41,000
    • +0.39%
    • 이더리움
    • 5,113,000
    • +1.09%
    • 비트코인 캐시
    • 605,500
    • -0.49%
    • 리플
    • 690
    • -0.86%
    • 솔라나
    • 213,100
    • +3.35%
    • 에이다
    • 588
    • +0%
    • 이오스
    • 924
    • -1.49%
    • 트론
    • 166
    • +1.84%
    • 스텔라루멘
    • 14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950
    • -1.06%
    • 체인링크
    • 21,340
    • +1.14%
    • 샌드박스
    • 541
    • -0.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