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서 K관광 붐 시동" 한국관광공사, 현지 관광박람회ㆍ홍보관 운영

입력 2024-05-13 11: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문화의료관광대전 K이벤트존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한국문화의료관광대전 K이벤트존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한·카타르 수교 50주년을 맞아 중동 방한 관광객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두 기관은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 ‘아라비안 트래블 마켓’(Arabian Travel Market, ATM)에 참가해 현지 관광업계와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전방위 마케팅 활동을 펼쳤다고 13일 밝혔다. ATM은 전 세계 약 165개국이 참여하는 중동지역 최대 B2B 국제관광박람회다.

중동은 대표적 고부가 관광시장으로 방한객 1인당 평균 소비액은 방한 외래관광객 평균 대비 약 37% 높고 한국 의료관광과 뷰티에 대한 호감도가 매우 높다. 특히 중동 방한객 중 의료관광 목적의 여성 비중이 50%에 달하고 방한 웰니스·럭셔리 관광에 대한 문의가 꾸준히 증가하는 점에 착안해 이번 박람회 기간 중 현지 럭셔리 사교 모임인 ‘자빌레이디스클럽(Zabeel Ladies Club)’과 공동으로 여성 VVIP 맞춤형 의료관광 설명회를 진행했다.

두 기관은 또한 중동 지역 내 방한 관광객 확대를 위해 지난 10일부터 이틀 간 카타르 도하 최대 쇼핑센터인 카타르몰(Mall of Qatar)에서 대규모 한국 홍보관을 운영했다. 이곳에서는 현지 소비자의 다양한 관심사를 반영한 매운 K-라면 챌린지 행사, 한방 시술 등 한국식 의료웰니스 체험 등을 마련해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더불어 국내 케이팝 아이돌 엠씨앤디(MCND)의 축하공연 등으로 현지인 1만여 명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공사는 한국을 찾는 중동 방한 관광객의 여행 편의 제고를 위해 올해 2월 중동 방한관광 민관 협의체 ‘알람 아라비 코리아’ 출범을 시작으로 중동 방한객이 한국에서 더 편리하고 친근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공동 마케팅 및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학주 공사 국제관광본부장은 “중동지역은 한국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 중 1%에 불과하지만, 대표적인 고부가 시장으로 여행 지출액이 높고 체류 기간 또한 전체 외래관광객 평균 6.7일 대비 10.5일로 상당히 긴 편”이라며, “공사는 중동 지역 고객의 여행 특성을 고려한 초 세분화 마케팅을 위해 현지 여행사를 고부가 방한 상품 판매 전문가로 지정해 특색 있는 방한 여행상품을 출시하도록 지원하는 등 한국으로 오는 길을 더욱 넓혀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벤츠가 특별 제작한 자동차 받은 페이커, 반응은?
  • 1년 새 3배 넘게 폭증한 10대 사범…고민 깊던 정부, 정책방향 전환키로
  • 한국, 싱가포르에 7-0 대승…손흥민ㆍ이강인 멀티골 "오늘 뿌듯하다"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율희, 이혼 6개월 만에 새 남자친구?…"오해 소지 다분" 직접 해명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0: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01,000
    • +0.05%
    • 이더리움
    • 5,285,000
    • -0.99%
    • 비트코인 캐시
    • 686,000
    • -0.15%
    • 리플
    • 724
    • -0.28%
    • 솔라나
    • 236,000
    • -1.83%
    • 에이다
    • 637
    • +0%
    • 이오스
    • 1,083
    • -2.52%
    • 트론
    • 160
    • +0.63%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300
    • -0.96%
    • 체인링크
    • 23,950
    • -2.44%
    • 샌드박스
    • 651
    • +0.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