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태양광 중심 포트폴리오 강화
롯데케미칼, 친환경·배터리 소재 매출 비중 확대 목표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불황을 이겨낼 돌파구로 배터리 소재, 친환경 사업 등 신(新)성장동력 찾기에 분주하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초소재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고 고부가·친환경 제품 확대로 위기를 극복한다는 전략이다.
1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주요 석유화학 기업은 탄소 중립 시대에 발맞춰 친환경 제품 개발과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친환경 △전지소재 △글로벌 신약을 3대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2025년까지 10조 원을 투자한다. 이를 위해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연산 12만 톤(t) 규모의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다. 2~3년 간 설비투자(CAPEX)에 매년 4조 원 안팎의 투자를 집행할 방침이다.
미국 1위 자동차 기업 제너럴모터스(GM)와 북미 시장 협력도 강화한다. LG화학은 GM과 양극재 공급 계약을 맺고 2035년까지 24조7500억 원 규모의 양극재를 공급하기로 했다. 양극재 50만 톤은 500㎞ 주행 가능한 전기차 500만 대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LG화학은 CJ제일제당과 함께 국내 기업 최초로 바이오 나일론의 원료부터 제품까지 생산한다. CJ제일제당이 미생물 정밀 발효 기술 및 공동 개발 기술로 바이오 원료인 ‘PMDA’를 생산하면, LG화학의 기술로 이를 중합해 바이오 나일론을 생산하고 판매한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 매출 7조 원을 목표로 수소, 배터리 소재, 리사이클 및 바이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30년까지 수소 60만 톤, 2035년까지 수소 180만 톤을 다양한 용도로 공급하고 수소 출하센터, 충전소 등을 포함해 수소 사업 전반의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 소재 국산화도 추진한다. 롯데케미칼은 2021년 5월 대산공장 내 약 2100억 원을 투자, 국내 최초 배터리용 전해액 유기용매 제품인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 건설을 발표했다.
이후 1400억 원을 추가 투자해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기차에 들어가는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인 전해액 유기용매의 핵심 소재 4종을 모두 생산할 방침이다.
또한 친환경 소재 브랜드 ‘에코시드(ECOSEED)’를 출시하고 플라스틱 리사이클 사업을 확대한다. 에코시드는 일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제품군(PCR-PET, PCR-PC, PCR-ABS, PCR-PE, PCR-PP)을 보유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에코시드 100만 톤을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한화솔루션은 일찌감치 태양광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개편했다. 올해 예정된 설비투자 규모는 3조2000억 원으로, 이 중 태양광 부문에만 2조6000억 원을 투입한다.
솔라허브에 거는 기대감도 크다. 솔라허브는 3조2000억 원을 투자해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미국 내 최대 태양광 통합 단지다. 태양광 잉곳·웨이퍼·셀·모듈 생산 공장을 각각 3.3기가와트(GW) 규모로 신설하고, 현재 생산 능력이 1.7GW인 조지아주 달튼의 기존 모듈 공장을 5.1GW 규모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이는 미국 기준 13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한화솔루션은 솔라허브에서 발생할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AMPC)로 실적을 방어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미국 정부로부터 지난해 2000억 원 규모의 AMPC를 받았다. 올해는 5000억~6000억 원 가량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